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계시의 빛, 영광




우리 가톨릭 교회를 '계시종교'라고 합니다. 그 말의 의미는 이 종교가 자연적인 인간의 초월적 본성에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위로부터 내려오는 감추어진 것의 열어보임이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교를 진정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전에 없던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됩니다.


생존이라는 기본적인 욕구와 자기 계발이라는 것은 사람에게 공통되는 욕구입니다. 또 초월성을 지향하는 것조차 인간 안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적인 욕구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리스도교가 사도신경 안에서 전하는 가르침들은 이런 인간의 기본적인 것과는 사실 상관 없는 내용들입니다. 누군가 알려주지 않고 가르쳐주지 않으면 모르는 내용들입니다. 그 가운데 핵심은 '십자가와 부활'입니다. 의로운 이가 왜 죽음에 이르기까지 고통 당해야 하는지, 또 사람이 죽지 않는다는 말은 무엇인지, 이러한 내용들은 누군가 실제로 겪은 일을 올바로 알려주지 않으면 인간의 생각 속에서 떠오르지 않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교는 이민족들에게 계시의 빛이 됩니다. 몰랐던 것들을 받아들이고 숙고하게 합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결단'을 내리게 만듭니다. 받아들일지 말지를 결단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신앙은 누구에게나 결단을 요구합니다. 이방 민족에게는 그 새로운 가르침을 받아들일지 말지를 선택하게끔 하고 또 이미 신앙의 노선 안에서 걸어가는 이들에게는 꾸준하고 충실할지 말지를 결정하게 합니다.


시메온이 봉헌된 아기를 두고 한 말 속에는 그의 신앙이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시메온은 이를 두고 '계시의 빛'이라는 아름다운 표현을 씁니다. 하지만 정반대의 사람들에게는 어떨까요? 그것은 코린토 1서 1장 23절에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즉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에게 신앙은 그저 '어리석음'일 뿐입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오늘날에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의 근본적인 결단 속에서 그리스도교는 계시의 빛으로 받아들여지거나 아니면 단순히 어리석음으로 치부됩니다. 같은 대상을 가운데 두고 내면의 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받아들이는 셈입니다.


영광이라는 것은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갑니다. 단순히 계시를 받아들이기만 하지 않고 거기에서 하느님의 새로운 백성으로 거듭난 이들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곧 영광입니다. 마치 유명한 연예인과 만나고 그들과 사진을 찍으면 세속 사람들은 그것을 다른 이들에게 자랑하는 것처럼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와의 만남 속에 영광을 느낍니다. 그분의 말씀을 듣고 그것을 전할 수 있는 것을 영광으로 여기고 마침내 순교라는 것, 즉 신앙으로 인해서 우리가 세상의 중요한 것을 상실하는 것조차 영광으로 여깁니다.


하지만 이 역시 그 반대편이 존재합니다. 앞서와 같은 성경 구절 안에서 '유다인들'로 표현되는 선민 의식에 빠진 이들에게 그리스도는 자신들의 교만과 아집을 고발하는 '걸림돌'이 됩니다. 이들은 율법에 사로잡힌 백성들로서 자신들이야말로 하느님의 백성이라고 착각하고 있지만 정작 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를 앞에 두고 걸려 넘어지는 이들입니다.


이제 우리들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교의 본질적 가르침 앞에 계시의 빛을 얻고 영광을 느끼고 있을까요? 아니면 그리스도의 가르침이 어리석어 보이고 자꾸만 내가 실제 살아가는 삶 안에서 나를 성가시게 하고 걸려 넘어지게 하는 걸림돌로 느껴질까요? 바로 거기에 답이 있습니다. 바로 거기에 나의 신앙의 본질이 놓여 있습니다.


세상은 이런 이들이 골고루 뒤섞여 있습니다. (비율적으로 하느님의 백성이 적은 것이 통상적입니다.) 그래서 하느님의 외아들은 반대받는 표징이 될 운명에 처해 있었고 그분의 어머니이신 거룩하신 동정 성모 마리아의 영혼은 칼에 꿰찔리는 운명에 처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일들은 오늘날에도 신앙의 본질을 올바로 수용하지 못한 이들에 의해서 자행되기도 합니다.


항상 기준이 서고 나면 그 기준을 두고 방향이 생깁니다. 이제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셨으니 그분을 기준으로 해서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아니, 이미 드러나고 있습니다.


자기 형제를 사랑하는 사람은 빛 속에 머무르고, 그에게는 그에게는 걸림돌이 없습니다.

그러나 자기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어둠 속에 있습니다.

그는 어둠 속에서 살아가면서 자기가 어디로 가는지 모릅니다.

어둠이 그의 눈을 멀게 하였기 때문입니다.

(1요한 2,10-11)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