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한 본당의 50년사를 받았습니다. 그 안에서 만나는 주임 신부님들의 약력을 가만히 보면 보좌의 기간이 불과 2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그리고는 바로 ‘주임’으로 한 본당을 책임지러 나갔지요.
오늘날 보좌의 기간은 길게는 10년 가까이나 됩니다. 그 수많은 기간동안 소위 ‘큰 본당’에서 주일학교와 청년회를 담당하면서 지내게 되지요. 다행히 저는 그 기간이 고작 3년 뿐이었고 바로 볼리비아에 나와서 선교지의 현장을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규모가 큰 본당에서 오랜 기간을 일하다 보면 당연히 그런 시스템에 익숙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모든 본당들의 예상이 그렇게 넉넉한 줄 알게 되고, 모든 본당들에 그렇게 사람이 넘쳐나는 줄 알게 되며, 아이들과 청년들이 그래도 어느 정도는 있으리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훗날 나와서 체험하게 되는 사목의 현장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큰 본당이 있는만큼 영세한 본당도 있으며 사무장 월급도 제대로 챙겨주기 힘들어서 주말만 잠깐 도와주는 아르바이트를 써야 하는 현실을 체험하게 됩니다.
무엇이 이러한 상황의 해결책일까요? 물론 외적인 여러가지 해결책들을 찾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신영세자의 숫자를 늘리고 냉담자 회두를 해서 본당의 숫적인 규모를 늘리고 교세를 확장해서 새로운 건물을 짓고 본당의 크기를 늘리면… 하지만 이러한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합니다.
문제는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내면애 있습니다. 복음화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인 고민, 무엇이 진정으로 신자들을 행복하게 해 주는가에 대한 성찰, 그리고 본당이 ‘사업’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복음’을 전하기 위한 것이라는 인식의 변환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외적인 방향으로만 기울어져 가는 우리의 신앙생활의 본질을 다시 일으켜 세워야 합니다. 우리는 하느님을 믿고 신뢰하며 그분의 사랑을 바탕으로 한 행복한 삶을 사람들 앞에서 드러내어야 합니다. 그것을 위해서 우리가 신앙생활을 한다는 것을 올바로 인식해야 합니다.
신앙이 자꾸만 외적인 것으로 대체되고 여러가지 각종 행사와 통계적 숫자로 대치되어 갈 때에 우리는 복음적인 교회에서 기업형 교회로 변질되어 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기업형 교회에서는 ‘효율성’이 우선시되고 ‘기능성’이 대두되어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이 발붙일 여지가 없어지게 됩니다. 실력이 너무나 뛰어난 성가대에는 단순히 노래가 좋아서, 함께 하느님을 찬양하기 위해서 다가오는 사람들은 겁이 나서 발도 붙이지 못하게 되는 것이 정상입니다.
교회의 근간에는 낮은 자를 살피시는 하느님에 대한 굳은 신앙이 있어야 하고, 우리 이웃 형제 간의 친교가 존재해야 합니다. 그것이 교회입니다. 사람들은 유혹에도 빠지고 죄도 지을 것입니다. 그러나 바로 그 순간에 팔을 벌리고 기다려주는 교회가 그들에게 필요합니다. 교회는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더 큰 사랑이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