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코 복음 11장
(마찬가지로 복음서 펴 놓고 같이 보세요.)
이 장과 뒤이은 12장은 예수님의 여정 중에 '위선자들의 간계'가 가장 돋보이는 장이다.
예수님은 이때부터 보다 본격적으로 표징적인 사건들을 드러낸다.
당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고
성전 상인들을 보란듯이 쫓아내는 듯의 일련의 행위들로써
당신의 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신다.
예수님은 어린 나귀를 타고 성에 들어가신다.
헌데 예수님의 말씀 중에 '아직 아무도 탄 적이 없는 어린 나귀'라는 말이 있다.
예수님의 대상 선택의 기준이다.
예수님은 튼튼하게 훈련된 외양이 멋진 종마가 아니라,
그저 아무도 타지 않은 어린 나귀,
볼품없지만 순수한 존재를 찾으신다.
우리 사람들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다.
하느님이 찾으시는 사람은
재주가 너무나도 많고 윤리적으로 완벽한 사람이 아니라
마음이 순하고 때묻지 않은 사람이다.
영적으로 순수한 사람,
그가 바로 하느님의 도구가 되는 것이다.
우리 자신의 상태를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아니, 우리는 어떤 사람이 되고자 그토록 애를 쓰는 건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나는 세상에 쓰이는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의 선택을 받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리고 하느님에게는 과한 재주가 필요가 없다.
하느님이 원하시는 건, 아무도 타지 않은 어린 나귀이다.
무화과 나무를 향한 저주에 관한 장은 의외로 좀 놀랍다.
하지만 친절하게도 뒤이은 구절에 그 해설이 나오긴 한다.
그럼에도 때가 이르지 않은 무화과 나무를 향해 저주를 내린다는 건
여전히 이해하기 힘이 든다.
하지만 이런 일들이 우리에게도 닥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언제면 추수를 할 준비가 될까?
언제면 하느님께서 우리의 생명을 거두어 가셔도 된다고 우리 스스로 생각할까?
사실 그런 때는 없다.
우리의 추수 시기는 미래의 어느 한 점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예수님이 날 찾으시는 바로 지금 이 순간이다.
예수님은 무화과나무를 통해
우리의 준비가 '늘' 필요함을 드러내고 계신 것이다.
그 때와 시간은 아무도 모른다.
늘 깨어 준비하고 있어라.
성전 정화 사건은 성경 안에서 가장 격정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예수님의 죽음이 본격적으로 모의된 사건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때에 우리는 '성전'에 대한 개념을 잘 잡아야 한다.
예수님은 성전 건물에서 상인들을 쫓아냄으로써 예언직을 수행하신 것이다.
실제로 성전은 무엇이고 쫓아내어져야 할 것은 무엇인가?
'성전'은 다름아닌 우리의 몸, 우리의 마음이고
쫓아내어져야 할 상인들은 우리의 불순한 생각들이다.
예수님이 '이 성전을 허물어라 내가 사흘안에 다시 세우겠다.' 하신 것을 기억하는가?
'성전'은 우리가 하느님에 대한 사랑을 가득 담아 두어야 할 우리 자신들의 몸인 것이다.
헌데 우리는 이 안에 세상의 온갖 고뇌와 격정을 담아두고 있다.
불과 얼마 전 어느분과 대화를 하면서 이런 말을 들었다.
'신부님은 세상 물정을 모르셔서 그러시는 거예요'
그렇다, 난 세상 물정을 모른다.
그래서 크게 세상 걱정을 하지 않으며 살아간다.
세상 걱정에 빠져 있었더라면 신학교도 들어가지 않았을테지.
세상 걱정 없이 살아갈 수는 없는걸까?
이 부분은 이 글을 읽는 '평신도' 여러분이 찾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세상에 대해 '관리'를 하는 것과 그 관리의 문제를 싸안고 '걱정'을 하는 것은
분명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 마음의 성전의 근본에는 '하느님'을 모셔야 하지,
'돈걱정'을 모시면 안된다.
나에게는 명백한 것 같은데,
어디까지나 나의 이상인 모양이라서 조금은 안타깝다.
ㅎㅎㅎ
무화과나무는 말랐다.
믿음의 파워를 드러내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노라고 예수님께서 설명하신다.
아주 유명한 구절이 여기서 나온다.
'이 산더러 들려서 저 바다에 빠져라'라고 하고 의심하지 않으면 이루어진단다.
그래서 적지않은 이들이 산을 옮기려고 시도해 보았으리라 생각한다.
여러분들... 산은 움직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건 하느님께서 지금 당장 바라시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러분들의 마음 속에 감춰둔 어둠의 산은 옮길 수 있다.
분노, 슬픔, 원한, 질투... 이런 마음 속의 히말라야 산들은
당장에라도 옮길 수 있다.
다만 우리가 그러길 원치 않을 뿐이다.
예수님은 계속 영적인 여정의 말씀을 하시는데,
철없는 우리들은 '산이나 한 번 옮겨볼까' 생각하며
하느님을 시험할 생각이나 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어 예수님의 권한이 문제가 된다.
'수석 사제', '율법 학자', '원로들'이 와서 묻는다.
이런 단어들은 좀 어렵다.
지금 우리가 자주 접하는 쉬운 분위기로 바꾸면 이런거다.
한 청년이 하느님을 너무나도 사랑해서
당신 사랑의 일을 시작한다.
그때에 '대리구장 신부님들', '신학자 신부님들', '몬시뇰'들이 와서 묻는다.
'무슨 권한으로 이런일을 하는거냐?'라고...
분위기가 느껴지는가?
여기에서 문제는 그들이 정말 이게 궁금해서 묻는 게 아니라는 거다.
그들은 이게 궁금한 게 아니라,
그 청년을 거부하고 무너뜨리고 싶은거다.
예수님은 이런 그들의 분위기를 알아채고는
답변을 거부하고 도로 '요한의 세례'에 대한 질문을 던지신다.
그리고 그들은 개개인으로 저마다 답변할 거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희끼리 의논하고는 '모른다'고 일축한다.
이 '요한의 세례'에 대한 질문은 당시 군중들의 최대 관심사로서
권력의 특징을 잘 파악한 예수님은
그들이 군중이 두려운 나머지 이 질문에 대답하지 못할 것이라는 걸 알고 계셨다.
ㅎㅎㅎ
통쾌하다.
세상의 권위에 대한 하느님의 지혜의 승리이다.
(마찬가지로 복음서 펴 놓고 같이 보세요.)
이 장과 뒤이은 12장은 예수님의 여정 중에 '위선자들의 간계'가 가장 돋보이는 장이다.
예수님은 이때부터 보다 본격적으로 표징적인 사건들을 드러낸다.
당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고
성전 상인들을 보란듯이 쫓아내는 듯의 일련의 행위들로써
당신의 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신다.
예수님은 어린 나귀를 타고 성에 들어가신다.
헌데 예수님의 말씀 중에 '아직 아무도 탄 적이 없는 어린 나귀'라는 말이 있다.
예수님의 대상 선택의 기준이다.
예수님은 튼튼하게 훈련된 외양이 멋진 종마가 아니라,
그저 아무도 타지 않은 어린 나귀,
볼품없지만 순수한 존재를 찾으신다.
우리 사람들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다.
하느님이 찾으시는 사람은
재주가 너무나도 많고 윤리적으로 완벽한 사람이 아니라
마음이 순하고 때묻지 않은 사람이다.
영적으로 순수한 사람,
그가 바로 하느님의 도구가 되는 것이다.
우리 자신의 상태를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아니, 우리는 어떤 사람이 되고자 그토록 애를 쓰는 건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나는 세상에 쓰이는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의 선택을 받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리고 하느님에게는 과한 재주가 필요가 없다.
하느님이 원하시는 건, 아무도 타지 않은 어린 나귀이다.
무화과 나무를 향한 저주에 관한 장은 의외로 좀 놀랍다.
하지만 친절하게도 뒤이은 구절에 그 해설이 나오긴 한다.
그럼에도 때가 이르지 않은 무화과 나무를 향해 저주를 내린다는 건
여전히 이해하기 힘이 든다.
하지만 이런 일들이 우리에게도 닥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언제면 추수를 할 준비가 될까?
언제면 하느님께서 우리의 생명을 거두어 가셔도 된다고 우리 스스로 생각할까?
사실 그런 때는 없다.
우리의 추수 시기는 미래의 어느 한 점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예수님이 날 찾으시는 바로 지금 이 순간이다.
예수님은 무화과나무를 통해
우리의 준비가 '늘' 필요함을 드러내고 계신 것이다.
그 때와 시간은 아무도 모른다.
늘 깨어 준비하고 있어라.
성전 정화 사건은 성경 안에서 가장 격정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예수님의 죽음이 본격적으로 모의된 사건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때에 우리는 '성전'에 대한 개념을 잘 잡아야 한다.
예수님은 성전 건물에서 상인들을 쫓아냄으로써 예언직을 수행하신 것이다.
실제로 성전은 무엇이고 쫓아내어져야 할 것은 무엇인가?
'성전'은 다름아닌 우리의 몸, 우리의 마음이고
쫓아내어져야 할 상인들은 우리의 불순한 생각들이다.
예수님이 '이 성전을 허물어라 내가 사흘안에 다시 세우겠다.' 하신 것을 기억하는가?
'성전'은 우리가 하느님에 대한 사랑을 가득 담아 두어야 할 우리 자신들의 몸인 것이다.
헌데 우리는 이 안에 세상의 온갖 고뇌와 격정을 담아두고 있다.
불과 얼마 전 어느분과 대화를 하면서 이런 말을 들었다.
'신부님은 세상 물정을 모르셔서 그러시는 거예요'
그렇다, 난 세상 물정을 모른다.
그래서 크게 세상 걱정을 하지 않으며 살아간다.
세상 걱정에 빠져 있었더라면 신학교도 들어가지 않았을테지.
세상 걱정 없이 살아갈 수는 없는걸까?
이 부분은 이 글을 읽는 '평신도' 여러분이 찾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세상에 대해 '관리'를 하는 것과 그 관리의 문제를 싸안고 '걱정'을 하는 것은
분명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 마음의 성전의 근본에는 '하느님'을 모셔야 하지,
'돈걱정'을 모시면 안된다.
나에게는 명백한 것 같은데,
어디까지나 나의 이상인 모양이라서 조금은 안타깝다.
ㅎㅎㅎ
무화과나무는 말랐다.
믿음의 파워를 드러내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노라고 예수님께서 설명하신다.
아주 유명한 구절이 여기서 나온다.
'이 산더러 들려서 저 바다에 빠져라'라고 하고 의심하지 않으면 이루어진단다.
그래서 적지않은 이들이 산을 옮기려고 시도해 보았으리라 생각한다.
여러분들... 산은 움직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건 하느님께서 지금 당장 바라시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러분들의 마음 속에 감춰둔 어둠의 산은 옮길 수 있다.
분노, 슬픔, 원한, 질투... 이런 마음 속의 히말라야 산들은
당장에라도 옮길 수 있다.
다만 우리가 그러길 원치 않을 뿐이다.
예수님은 계속 영적인 여정의 말씀을 하시는데,
철없는 우리들은 '산이나 한 번 옮겨볼까' 생각하며
하느님을 시험할 생각이나 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어 예수님의 권한이 문제가 된다.
'수석 사제', '율법 학자', '원로들'이 와서 묻는다.
이런 단어들은 좀 어렵다.
지금 우리가 자주 접하는 쉬운 분위기로 바꾸면 이런거다.
한 청년이 하느님을 너무나도 사랑해서
당신 사랑의 일을 시작한다.
그때에 '대리구장 신부님들', '신학자 신부님들', '몬시뇰'들이 와서 묻는다.
'무슨 권한으로 이런일을 하는거냐?'라고...
분위기가 느껴지는가?
여기에서 문제는 그들이 정말 이게 궁금해서 묻는 게 아니라는 거다.
그들은 이게 궁금한 게 아니라,
그 청년을 거부하고 무너뜨리고 싶은거다.
예수님은 이런 그들의 분위기를 알아채고는
답변을 거부하고 도로 '요한의 세례'에 대한 질문을 던지신다.
그리고 그들은 개개인으로 저마다 답변할 거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희끼리 의논하고는 '모른다'고 일축한다.
이 '요한의 세례'에 대한 질문은 당시 군중들의 최대 관심사로서
권력의 특징을 잘 파악한 예수님은
그들이 군중이 두려운 나머지 이 질문에 대답하지 못할 것이라는 걸 알고 계셨다.
ㅎㅎㅎ
통쾌하다.
세상의 권위에 대한 하느님의 지혜의 승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