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죄에 맞서 싸우기




성경은 우리에게 얌전하라고만 가르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싸우라'고 합니다. 우리는 '싸운다'는 단어만 생각하면 부정적인 영역을 떠올리기 쉽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싸우지 말아야 한다고 무턱대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싸운다는 말을 겨루어 이겨낸다는 단어로 바꾸면 조금은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 우리가 가는 구원의 여정은 여러가지 면에서 이겨내야 하는 여정입니다.


사실 우리는 세상에서 이미 체험하고 있습니다. 세상은 호락호락하지 않습니다. 살아 남으려면 여러가지 도전들을 직면해야 하고 그것을 이겨내야 합니다. 아무도 거저 입에 밥을 넣어주지 않습니다. 형제가 여럿인 집에서는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형제 간에도 겨루어야 했습니다.


신앙도 그저 숟가락 물고 앉아 있으면 얻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신앙도 수동적으로만 받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힘을 내어서 성실하게 앞으로 나아가야 얻을 수 있습니다.


헌데 신앙의 싸움은 세상의 여느 싸움과는 남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이 싸움이 '영적인 싸움'이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 싸움의 대상에 '죄'와 '악'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영적이라는 면에서 이 싸움은 흔히 보이지 않는 대상과의 싸움을 전제로 합니다. 즉, 외적으로 실력을 겨루는 일이 아니라 내면의 선과 성실성, 믿음과 희망을 꾸준히 키워 나가야 하는 싸움입니다. 그래서 흔히 사람들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쉽게 무시해 버리기가 일쑤입니다. 눈에 보이는 돈을 겨루는 일이면 적어도 목표가 뚜렷해 보이는데 우리의 신앙의 대상은 그 목표점이 하느님이라는 분으로 흔히 우리가 감지할 수 없는 분이십니다. 그러니 사람들은 편하게 '없다'라고 생각해 버리고 맙니다. 여기에서부터 지는 사람이 생겨나게 됩니다. 싸움을 숫제 시작도 하지 않은 채로 패배하는 것입니다.


신앙의 싸움은 꾸준한 의지적 선택을 전제로 합니다. 눈에 보이는 대상이라면 손에 쥐면 잡히는 그것을 위해서 열성을 내겠지만 보이지 않는 대상을 욕구하고 원하게 되는 것은 그 자체로 하나의 싸움이 됩니다.


죄와 악과의 싸움이라는 면에서 이 싸움은 어마어마한 현명함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싸우는 대상은 그저 우리를 기다려주는 얌전한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를 공략하고 넘어뜨리고 파괴하고 멸망시키려고 안달이 나 있는 대상입니다. 그들은 우리가 가만히 있어도 우리에게 다가와 유혹을 걸고 우리가 정의로움을 실행하는데도 우리가 나쁜 사람이라고 괴롭힐 것입니다. 그것이 악의 특성이기 때문입니다. 악의 특성은 진정한 선이 어디에 있는가를 절대로 찾아보지 않습니다. 악은 그저 자신의 이득만을 꾀해서 그것에 위배되는 모든 것을 파괴해 버리고 맙니다. 그래서 악인들은 서로 돕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서로를 파괴하고 맙니다. 서로간에 신뢰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죄와 악의 싸움에서 우리는 올바른 무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우리의 무기 가운데 최고봉은 바로 '십자가'입니다. 십자가는 무력해 보이고 나약해 보이지만 가장 강력한 악에 대응할 수 있는 무기입니다. 이 십자가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악에 악으로 맞섭니다. 그러면 결국 그 악이 스스로를 잠식해 들어가 버리고 맙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