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복음에서 아버지는 이렇게 말합니다. "얘야, 너는 늘 나와 함께 있고 내 것이 다 네 것이다. 너의 저 아우는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고 내가 잃었다가 되찾았다. 그러니 즐기고 기뻐해야 한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아우는 죽지 않았습니다. 그러면 무엇이 죽어 있었다는 말일까요? 나아가서 여기 미사를 드리겠다고 모여 앉아 있는 우리는 과연 살아 있는 이들일까요? 아니면 죽어있는 이들일까요? 사람들은 육신에 집착하게 됩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육신의 고통은 즉각적이기 때문입니다. 누군가가 내 발을 밟으면 그 즉시 그 아픔이 느껴집니다. 하지만 누군가가 나를 증오한다고 해서 그 증오의 기운이 즉각적으로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내 영혼이 탐욕과 이기심에 물들어간다고 해서 그것이 나에게 즉각적인 아픔으로 다가오지도 않습니다. 신앙을 잃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성당을 안나오면 도리어 몸이 편해집니다. 참된 신앙인이나 양심에 찔릴까 원래부터 신앙이 없던 이, 즉 성당에 그다지 나오고 싶지 않던 이들은 성당에 나오지 못하는 핑계가 생겼을 때에 오히려 잘 되었다고 좋아합니다. 이처럼 육신에 끼쳐지는 해악은 즉각 그 느낌을 알지만, 영혼에 끼쳐지는 해악은 둔감한 것이 사람입니다. 그러다보니 우리는 육신에 집착하고 영혼에 둔감하게 됩니다. 죽음이라는 것은 육신에만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육신의 죽음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벌어지는 하나의 사건입니다. 선하게 살아도 악하게 살아도 죽음은 누구에게나 찾아옵니다. 진정한 의미의 죽음은 '영혼의 죽음'입니다. 영혼이 죽으면 안됩니다. 영혼이 살아 있어야 합니다. 영혼이 살아있다는 것은 영혼이 생명이신 분과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치 콘센트에 전원이 연결된 전자기기가 작동하는 것처럼 영원하신 분과 친교를 나누고 있는 영혼은 비로소 본래의 기능을 합니다. 영혼의 본래의 기능은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직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 놓여 있는 사람만이 참 되고 진실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