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복음을 전하는가?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성 이냐시오에게 보낸 편지에서


여기 많은 사람들은 그들을 그리스도인으로 만들 사람이 아무도 없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이 되지 못하고 맙니다. 유럽의 대학 특히 파리의 소르본 대학에 가서 사랑보다는 지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 지식으로 열매를 맺도록, 미친 사람처럼 큰소리로 외치면서, 다음과 같은 말로 꾸짖을 마음을 자주 먹었습니다. “여러분의 게으름 때문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천국의 영광에 들어가지 못하고 지옥으로 떨어지고 있는지 모릅니다.”


=========




복음을 전하는 데에 수많은 학적 연구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신학적 발전은 교리의 정리와 그릇된 사상에 맞서 싸우기 위해서 필요한 일이지만 복음이 전해지는 데에는 보다 단순하고 실천적인 요소들이 더 중요하다. 문제는 그 사상에 집중하느라 실천적인 복음 선포를 소홀히 하는 데에 있다.


오늘날 복음은 전해지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왜, 어디에서 복음은 정체되고 있는가? 배움이 부족해서 그러한 것일까? 아직도 우리는 '더 배워야만' 하는 것일까?


한국만큼 문맹이 퇴치된 곳은 없다. 민족적으로 따지자면 우리만큼 우수한 학적 배경을 가진 민족은 없다. 그렇다면 복음의 전파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못 배워서'가 아니다. 전혀 다른 곳에 그 이유가 있는 것이다.


복음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실천'하는 데에서 이루어진다. 용서를 실천하고 사랑을 실천하는 데에서 이루어진다. 한국땅에 있어서 복음 선포에 가장 장애물이 되는 것은 지나친 형식화와 지식의 찬양이다. 신앙에 있어서 전문가는 수십권의 두꺼운 책을 책장에 꽂아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이 하느님에 대해서 아는 바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사람이다. 그 사람이 진정한 전문가이다.


십자가를 지는 사람,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헌신하는 사람이 필요하다. 사람들은 저마다 하느님을 찾지만 그 하느님을 '보여주는' 사람이 없다. 저는 실천하지도 않으면서 학적인 내용을 아무리 가르쳐봐야 소용이 없다. 복음은 선포되어야 복음이 되는 것이다. 기쁜 소식은 전해져야 기쁜 소식이 되는 것이다. 내가 머무르는 가정 안에서, 공동체 안에서 복음은 우리 각자가 지닌 달란트대로 전해져야 한다. 당신이 사제라면 신자들에게 복음을 구체적으로 전해야 하고, 당신이 가정의 가장이라면 그 가정을 복음화해야 한다.


결국 '신앙의 게으름'이 '열매 맺지 못함'이라는 결과로 드러난다. 신자 수는 자꾸만 줄고, 신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준다. 그러나 사람들의 '관심' 자체가 사라진 것은 아니라서 인터넷에 떠도는 수많은 뉴스 기사들이 관심거리가 되고 언제나 쏟아져나오는 새로운 상품들이 관심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누가 있어 그 관심을 하느님에게로 돌리려 노력할 것인가? 그 책임은 언제나 '타인'에게 전가된다. 신부님의 몫이라고, 교회의 몫이라고... 그렇다면 우리는 교회가 아니란 말인가? 우리 스스로 하느님의 백성의 대열에서 제외 시키는 것인가? 누가 하느님의 손가락의 역할을 맡을 것인가?


개인적인 신앙관에 빠져서 그저 미사나 빠지지 않으면 구원 받겠거니 하는 안일한 생각을 하는 적지 않은 신앙인들, 훗날 그들은 깜짝 놀라게 될 것이다. 자신이 그래도 그나마 열심히 해 왔다고 생각한 것에서 그 어떤 결실도 맺어지지 않았기에 약속된 곳에 들어가지 못하는 스스로의 현실에 깜짝 놀라게 될 것이다. 하느님의 마음을 수도 없이 들었으면서도 몰랐다고 항변해봐야 소용이 없다. 복음은 '실천'되고 '전해'져야 하는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