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생 시절에는 피교육자의 입장에서 우리를 가르치는 교수 신부님들이 워낙 드높아 보였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그분들은 적어도 '사제'였고 거기다가 외국에서 뭐라도 따고 오신 분들이셨기 때문이었다. 사제 + 외국물 + 학위, 이런 것들이 혼합되어 일단 우리가 함부로 범접할 수는 없다는 인식이 강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지금에 이르러 신학교의 신부님들이 내 또래 정도가 되고 심지어는 나보다 후배인 신부님도 신학교에서 교수직을 맡게 되는 걸 보면서 보다 현실적인 상황을 알아보는 눈이 열리게 된다. 신부님들은 구원 여정에 있어서 '완성된' 존재가 아닌 것이다. 사제들은 자신들이 부름받은 사제직이라는 소명 안에서 길을 찾고 성실하게 응답해 나가야 하는 사람들이다.
하나의 단적인 예로, 신학교 안에는 '영성그룹'이라는 것이 존재했다. 신학교에 상주하는 교수 신부님을 필두로 다양한 학년층에서 그 신부님을 고해 사제로 삼고 한 달에 한 번씩 자신의 영적 상담을 하러 가는 그룹이었다. 헌데 동기들 사이에서는 당연히 자신의 일상을 나누면서 서로가 머무르는 '영성그룹'의 실태를 엿볼 수 있게 된다.
기본은 영성을 살피는 것이지만, 어떤 종류의 영성 그룹은 그 담당 신부님의 성향에 따라서 '술판'을 벌이기로 유명한 그룹도 있었다. 당시에만 하더라도 신부님이 되려면 술을 잘 마셔야 한다는 것이 통념이었고, 영성 그룹을 통해서 들려오는 일화도 그냥 그런 줄 알았던 일이지만 지금 돌이켜 생각해 보면 참으로 안타까운 모습이 아닐 수 없다. 영성을 보살피러 가는 곳에서 도리어 술이라는 '악습'을 배워 오기도 하는 것이다.
그것 외에도 그때에는 그렇게 하는 것이 전혀 어색하지 않게 받아들여지는 일들이 종종 있었다.
흔히 평신도 분들은 사제나 수도자에 대해서 일종의 '환상'을 품게 된다. 자신이 겪어 보지 않은 삶을 살아가는 분들이기에 그렇게 느끼게 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군대를 가 보지 않은 채로 군대를 갔다온 삼촌의 군생활 이야기를 듣는 초등학생의 마음에 형성되는 군대의 이미지처럼, 막상 겪어볼 수 없는 그 생활에 대한 막연한 환상을 키워가며 그렇게 키운 환상을 본당에서 마주치는 신부님과 수녀님에게 덮어씌우게 되는 것이다.
사제직이나 봉헌생활은 분명 아름답고 소중한 것이다. 하지만 혼인이라는 거룩한 사명도 마찬가지다. 올바로 잘 가꾸어진 혼인생활은 누가 보더라도 존경스럽고 아름다운 모습을 지니고 있다. 마찬가지로 사제직과 봉헌생활도 그러하다. 그저 그것을 받았다고 끝나는 일이 아니라 자신이 받아들인 그 아름다운 소명을 올바로 살아내어야 하는 것이다.
신부님을 존경하는 것, 수도자를 물심 양면으로 돕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하지만 사제나 수도자는 그런 상황을 절대로 '당연한 듯'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오히려 겸손하게 우리가 그런 대접을 받을 자격에 합당하지 않다는 생각을 품고 우리를 존경해주시는 분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품고 하느님의 뜻 안에 더욱 충실히 살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른 한 편, 사제를 존경하는 것과 세속의 물을 들이는 것은 전혀 다른 일이다. 사제를 존경해서 그분이 하느님의 뜻에 맞게끔 살도록 돕는 일과, 그분을 존경한다면서 오히려 세상에 휘둘릴 정도의 지나친 인간적 사랑을 내던지는 것은 전혀 다른 두가지 일이다. 사제와 수도자의 성화를 위해서 진심으로 기도해야 하고 또 평신도 역시도 '거룩한 삶'을 살도록 기도할 줄 알아야 한다. 지나친 세속적 관심으로 그분들의 여정을 하느님의 길에서 벗어나게 하면 그 사람 역시도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신부님을 모시고 지나치게 화려하고 값비싼 취미 활동이나 본연의 직분에 손상을 줄 정도의 술자리를 자꾸 추진하는 분들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말도 안되는 환상을 품는 것과, 올바른 방향의 희망을 갖는 것의 차이, 거기에는 우리가 가 닿고자 하는 곳의 올바른 이미지를 아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는 우리가 편하자고 하느님의 자녀가 된 것이 아니다. 우리는 영원 안에서 얻게 될 하느님의 참된 생명의 나라를 위해서 이 땅에서 십자가를 지고 걸어가신 당신의 외아드님을 따르는 여정을 선택한 이들이다. 이 길은 좁고 험해서 좀처럼 사람들이 가려 하지 않는 길이다. 이제 환상을 벗어던지고 신앙의 현실을 직시할 때가 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