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초월'을 경험한 사람만이 한계를 벗어날 꿈을 꿀 수 있다.
우리는 모두 비슷비슷한 경험 속에서 살아간다. 비슷한 시대를 살면서 탄생하고 동시대의 물질문명의 혜택 속에서 비슷한 체험을 나눈다. 우리보다 조금 앞선 시대의 경험을 어른들을 통해서 듣게 되고 또 미처 우리가 생각지 못한 것을 발명해내는 후대의 세대에 감탄하며 살아간다. 그래서 우리는 전쟁을 겪지는 않았지만 그 경험을 공유하고 최신 개발된 물건과 또 앞으로 이루어질 발전상을 유투브 영상으로 알게 된다.
그럼에도 이런 모든 경험들은 유사한 범주 안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이 아무리 최신 기술을 뽐내고 문명의 발달을 이루어낸다고 해도 그것으로 인간이 진정 '초월'을 이루어 내었다고 볼 수는 없다. 설령 영원히 사는 약을 발명한다고 해도 그것이 인간 '초월'의 진정한 의미는 아닐 것이다.
인간이 진정으로 자신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자신을 뛰어넘은 존재의 인도가 필요하다. 그런 초월적 체험이야말로 인간을 자신이 머무는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그 누구도 뛰어보지 못한 점프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신앙은 그것을 '부활'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물론 여전히 수많은 사람들은 부활을 단순하게 생각한다. 그저 죽었다가 다시 깨어나는 정도로 생각하고 마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아무리 미사와 성사 안에서 끊임없이 외쳐지는 '부활'에 대한 소식을 접해도 그 본연의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다. 그들은 그저 세속적 부활에 대한 관념만을 얻을 뿐이다.
진짜 부활은 그 부활의 올바른 아이디어가 나로 인해서 구체적으로 실천될 때에 일어나는 일이다. 인간의 유한성을 넘어선 결정을 내리고 그 결정을 실천할 때에 사람은 진정 '부활'을 체험하게 된다. 이 세상 그 누구도 해보지 못한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경험은 그를 더욱 상승세로 전환하게 된다.
여러분들이 이해하기 쉽게 일상의 예를 비유로 들어 보겠다. 한 아이가 그림을 그린다. 이 아이의 '그림세계'는 종이와 연필, 그리고 물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아이는 그림을 그리면서 그림이라는 행위 자체를 전혀 다르게 해 본다는 생각을 할 수가 없다. 연필 대신 목탄을 쓸 수는 있고, 만년필을 써 볼 수는 있어도 그 밖의 다른 행위가 그림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어느날 이 아이가 무형예술인의 공연을 보게 된다. 그는 커다란 종이를 깔아놓고서 그 위에 먹물이 묻은 신발로 춤을 추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의 춤사위가 바닥에 그림을 그려낸다. 이 아이는 그의 행위를 보고서는 깜짝 놀랄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자신이 지금껏 그려오던 행위와 전혀 다른 행위를 통해서 '그림'을 그리기 때문이다.
이제 집으로 돌아간 아이는 연필, 물감을 내려놓고 조심스레 손에 물감을 찍어본다. 손이 그림도구가 된다. 그리고 집 안에 있는 다양한 물건들로도 표현을 시작해본다. 전에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일이 이제 이 아이에게는 현실이 된 것이다.
물론 이것은 하나의 예시로 든 비유일 뿐이다. 그러나 '초월'이라는 것이 우리의 틀을 어떻게 깨는지를 보여주는 비유이다. 종교인들은 여전히 세상에 묶여 있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진정한 의미의 초월적 체험을 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가능성은 '항상' 열려있다. 왜냐하면 우리의 주님은 부활하신 분이고 지금도 살아계시고 우리와 함께 하시기 때문이다.
경험은 실제로 눈으로 보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우리는 다른 감각기관으로도 경험을 하고 또 '영혼'으로도 경험을 한다. 우리의 오감이 모두 잠들어 있을 때에도 우리는 수면 중에 '꿈'을 통해 경험을 할 때도 있다. 꿈 안에서 우리는 무언가를 보고 듣고 느끼기도 하지만, 꿈 자체가 우리에게 전하는 의미를 고스란히 지니고 깨어나기도 하는 것이다. 영혼은 오감이 전해주지 못하는 영역의 것을 캐치할 수 있고 그것을 나의 고유한 경험으로 살려낼 수 있다. 우리가 성경을 읽으면서 그저 문자를 공허하게 발음할 수도 있지만 그 안에 살아 숨쉬는 성령을 믿음으로 체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초월에 대한 경험이 인간을 진정한 구원으로 이끌어간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