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어느 아줌마의 욕심


새 본당에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어느 아줌마가 찾아왔다. 화장을 한 걸로 봐서는 마냥 가난한 사람은 분명 아니었다. 이야기를 듣자하니 이런 내용이었다.

"신부님, 얼마 전에 딸이 사고를 당해서 다른 신부님(전임 주임 신부님)이 많이 도와주셨거든요. 제가 미혼모라서 딱히 돈이 나올 구석이 없어요. 근데 의사가 그러는데 아이가 회복할때까지 장시간을 누워 있으려면 물침대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어떻게 좀 도와주실 수 없는지요?"
"흠... 도와 드리도록 하지요. 하지만 물침대를 사 드리진 않겠습니다. 저희가 구입한 뒤에 무상으로 대여해 드리도록 하지요. 그럼 물침대 가격만 좀 알아봐 주세요."

그렇게 돌아간 아줌마, 오후에 다시 찾아왔다.

"아, 신부님 물침대는 친척 중에 누가 가지고 있다고 하니까 그걸 빌리면 될 것 같구요. 의사 선생님이 그러는데 아이가 일어나서 걷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보조 보행기가 필요하다고 하더군요. 그걸 좀 사다 주실 수는 없으세요?"

느낌이 이상했다. 이렇게 순식간에 말을 바꾸고 찾아오는 것에 뭔가 꺼림칙한 것이 느껴졌다. 그래서 직접 집을 가 보기로 했다. 사는 곳은 그리 멀지 않았다. 일단 집으로 들어서는데 철제 대문이 있었고 집 안도 나름 깔끔했다. 커다란 오븐도 있고 안에는 아이가 타고다닐 휠체어도 있고 텔레비전이며 필요한 집기들이 다 있었다. '이 아줌마 돈 욕심이 난 거구나...' 싶었다. 마음이 바뀌었다.

"나름 갖추고 사시네요."
"이 집은 동거하는 남자(전에 남자가 있었고 이번이 두 번째 남자임) 거예요."
"그럼 그 사람은 저 아이에 대해서 아무런 신경도 쓰지 않나요?"
"네 그사람 무책임해요. 그리고 우리더러 나가라고 해요."
"그럼 그 사람 집에 오거든 저에게 알려주세요. 제가 이야기를 해 볼께요."
"신부님 도와 주실 건가요 말건가요?"

마지막에 나에게 따지듯이 묻는 말에 마치 내가 빚을 진 사람이고 뭔가를 받아내야 겠다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이 즈음에서 난 본당으로 돌아왔다. 며칠 뒤 그 동거남이 찾아왔다. 그 아줌마가 말한 것처럼 나쁘다거나 아이에 대해 전혀 신경쓰지 않는 사람이 전혀 아니었다.

"신부님, 전에 신부님도 수술때에 도와 주셨는데 이번에도 좀 도와 주시면 좋겠습니다. 전의 신부님에게는 제가 오토바이를 맡기고 돈을 빌리기도 했습니다.(그 이전에 벌써 많은 수술비를 도와주었고 거기에 자꾸 더 필요하다 해서 오토바이를 보관하고 더 빌려준 상황)."
"아, 저 오토바이의 주인이시군요. 드디어 만났네요. 전에도 벌써 많은 도움을 드렸고 이제는 더 이상 무턱대고 도움을 드릴 순 없습니다. 다가오는 주일 미사에 나오시면 상황을 전 신자들에게 공지하고 도움을 얻도록 하지요. 그렇게 하시겠습니까? 아, 그리고 저 맡긴 오토바이 계속 찾아가지 않으면 제가 팔아버리겠습니다."

아저씨는 오토바이를 팔겠다는 말에 긴장하며 미사 때에 나오겠다고 하고는 돌아갔다. 하지만 결국 미사때에는 나오지 않았다. 며칠 뒤에 그 아줌마가 다시 찾아왔다.

"신부님, 왜 안 도와 주시는 겁니까?"
"제가 동거하시는 분과 이야기를 나누고 분별했을 때에는 당신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남자들은 거짓말장이입니다. 저는 거짓말 하는 게 아닌데요. 사제가 왜 도움을 주지 않지요?"
"잠깐만요… 한 가지는 분명히 합시다. 혹시 제가 뭔가 당신에게 빚진 게 있나요? 대답해보세요."
"없습니다."
"좋습니다. 지난 미사때 오면 사람들을 통해서 도움을 드리겠다고 했지만 오지 않았습니다. 한 번 더 기회를 드리지요. 미사때 나오시면 앞에 나와서 상황 설명을 하고 사람들의 도움을 청하겠습니다. 그렇게 하시겠습니까?"
"그렇게는 싫습니다."
"그럼 어쩔 수 없군요. 안녕히 돌아가십시오."
"제가 거짓말을 하는 지 아닌지는 하느님이 아실 겁니다."

그렇게 서로 약간은 흥분한 상태로 아줌마는 돌아갔다. 그래 돈이 없는 건 거짓말이 아니라는 걸 안다. 하지만 그 돈을 어떻게 구하려고 하는지가 문제인거다. 이 아줌마는 자기 자존심을 손상치 않고 제일 손쉬운 방법을 찾아서 교회를 찾아온거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보다 필사적이었을 것이다. 하다못해 정말 급한 돈이었다면, 정말 자신의 딸에게 보조기를 사 주고 싶은 마음이었다면 집안에 가지고 있는 집기를 싼 값에 팔아서라도 그 돈을 마련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모습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또 며칠 후에 동거남이 찾아왔다.
"신부님, 저 오토바이를 살 사람을 구했습니다. 잠시 집안에 들어가서 오토바이를 봐도 될까요?"
"네 그러십시오."

입안 잔뜩 꼬까잎을 문 아저씨가 들어와서 오토바이를 유심히 본다. 그리고는 300$에 사겠다며 계약이 성사되었다. 그렇게 오후에 아저씨가 와서 빌린 돈을 나에게 내민다. 그 자리에서 200Bs.를 돌려주며 말했다.

"이 돈으로 아이 보조기 사는데 보태세요. 그리고 오토바이 가져가시고 가족 잘 돌보세요. 아이는 아무 죄가 없으니까요. 사실 저에게는 돈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떤 마음으로 그 돈을 청하느냐가 더 중요해요. 그리고 같이 사는 그 아줌마 조금은 조심하셔야 할 듯 해요."

아저씨는 고맙다며 돌아갔다. 혹시 트럭 고장나면 자기에게 맡기라는 말과 함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