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그분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 그들이 믿지 않는 것에 놀라셨다.
마르코 복음 6장의 3절과 6절에 나오는 대비되는 두 구절입니다. 한 부류는 다른 한 사람을 향해서, 그리고 그 한 사람은 다른 부류를 향해서 가지는 상반된 모습입니다.
‘못마땅함’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자신들은 그가 이렇게 되기를 바라는데 그 사람은 그렇지 않다는 말이지요. 이 경우에는 그들은 예수님이 약하고 부족하고 못난 인간이기를 바라는데 예수님은 그들의 수준을 훨씬 뛰어넘어 있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예수님의 ‘현재’는 그들에게 ‘못마땅함’이 됩니다. 상대의 장점, 좋은 점, 선한 점이 그들에게 못마땅함이 되기에 그들의 안에는 ‘시기심’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좋은 것을 함께 기뻐해주지 못하는 악하고 고약한 마음입니다. 상대가 잘 되기를 바라지 않는 마음입니다.
‘놀라움’
무언가 상상하지 못한 엄청난 것을 보았을 때에 보이는 반응입니다. 예수님이 그들을 보면서 이를 느낀 이유는 그들의 믿음이 형편 없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이 유년 시절을 보낸 가장 축복받은 바로 그 고향 땅에서 오히려 사람들의 믿음이 더 형편없다는 것을 알게된 예수님은 ‘놀라고’ 계십니다. 즉, 예수님은 그들에게 적어도 다른 고을 정도의 반응을 예상하고 계셨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사람이 그럴 만한 이유가 없으면 놀라지 않습니다. 겨울이 되면 물이 언다는 사실은 한국 사람에게는 하나도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볼리비아의 더운 지역 사람에게는 엄청 신기한 일이지요. 그들의 나라에서는 자연적으로 어는 얼음이란 존재하지 않으니까요. 예수님은 고향에서 충분한 은총을 쏟아 놓으셨지만 고향 사람들의 마음은 오히려 반대로 닫혀가고 있었던 것입니다. 하느님의 아들도 놀랄 수 있다는 말이고, 인간의 자유는 신적인 권능으로도 예상 밖의 일이 되기도 한다는 말입니다. 거꾸로 말하면 예수님은 기대하지 않은 믿음에도 놀랄 것입니다. 마치 백인 대장이 뜬금없는 믿음을 드러내셨을 때에 기뻐하신 것과 같이 말이지요.
이제 우리 차례입니다. 시기를 느끼는 대상이 있지는 않습니까? 즉, 다른 이의 좋은 것들을 나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지는 않습니까? 남이 잘 되는 꼴에 배가 아파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과연 우리는 하느님을 놀래키고 있을까요? 어느 방향으로 놀래키고 있을까요? 얼토당토 않은 배신의 행위로 그분을 놀래키고 있을까요? 증오와 시기와 불의와 기만으로 그분을 놀래키나요? 아니면 반대로 진실과 정의와 사랑과 용서와 인내로 그분을 놀래키고 있나요? 우리의 자리는 어디에 있을까요?
마르코 복음 6장의 3절과 6절에 나오는 대비되는 두 구절입니다. 한 부류는 다른 한 사람을 향해서, 그리고 그 한 사람은 다른 부류를 향해서 가지는 상반된 모습입니다.
‘못마땅함’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자신들은 그가 이렇게 되기를 바라는데 그 사람은 그렇지 않다는 말이지요. 이 경우에는 그들은 예수님이 약하고 부족하고 못난 인간이기를 바라는데 예수님은 그들의 수준을 훨씬 뛰어넘어 있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예수님의 ‘현재’는 그들에게 ‘못마땅함’이 됩니다. 상대의 장점, 좋은 점, 선한 점이 그들에게 못마땅함이 되기에 그들의 안에는 ‘시기심’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좋은 것을 함께 기뻐해주지 못하는 악하고 고약한 마음입니다. 상대가 잘 되기를 바라지 않는 마음입니다.
‘놀라움’
무언가 상상하지 못한 엄청난 것을 보았을 때에 보이는 반응입니다. 예수님이 그들을 보면서 이를 느낀 이유는 그들의 믿음이 형편 없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이 유년 시절을 보낸 가장 축복받은 바로 그 고향 땅에서 오히려 사람들의 믿음이 더 형편없다는 것을 알게된 예수님은 ‘놀라고’ 계십니다. 즉, 예수님은 그들에게 적어도 다른 고을 정도의 반응을 예상하고 계셨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사람이 그럴 만한 이유가 없으면 놀라지 않습니다. 겨울이 되면 물이 언다는 사실은 한국 사람에게는 하나도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볼리비아의 더운 지역 사람에게는 엄청 신기한 일이지요. 그들의 나라에서는 자연적으로 어는 얼음이란 존재하지 않으니까요. 예수님은 고향에서 충분한 은총을 쏟아 놓으셨지만 고향 사람들의 마음은 오히려 반대로 닫혀가고 있었던 것입니다. 하느님의 아들도 놀랄 수 있다는 말이고, 인간의 자유는 신적인 권능으로도 예상 밖의 일이 되기도 한다는 말입니다. 거꾸로 말하면 예수님은 기대하지 않은 믿음에도 놀랄 것입니다. 마치 백인 대장이 뜬금없는 믿음을 드러내셨을 때에 기뻐하신 것과 같이 말이지요.
이제 우리 차례입니다. 시기를 느끼는 대상이 있지는 않습니까? 즉, 다른 이의 좋은 것들을 나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지는 않습니까? 남이 잘 되는 꼴에 배가 아파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과연 우리는 하느님을 놀래키고 있을까요? 어느 방향으로 놀래키고 있을까요? 얼토당토 않은 배신의 행위로 그분을 놀래키고 있을까요? 증오와 시기와 불의와 기만으로 그분을 놀래키나요? 아니면 반대로 진실과 정의와 사랑과 용서와 인내로 그분을 놀래키고 있나요? 우리의 자리는 어디에 있을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