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주님의 제자들의 역할


그들을 당신과 함께 지내게 하시고, 그들을 파견하시어 복음을 선포하게 하시며, 마귀들을 쫓아내는 권한을 가지게 하시려는 것이었다. (마르 3,14-15)

예수님이 사도들을 뽑은 이유입니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목록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당신과 함께 지내게’ - 당신과 함께 머무르며 필요한 것을 배우게 하기 위함입니다. 제자들은 예수님을 만나기 전까지는 나름 착하게 생활해 오긴 했지만 ‘빛’이 부족했습니다. 즉 하느님의 말씀의 빛이 전적으로 부족했지요. 사람은 누구나 그러합니다. 제 나름의 윤리 도덕적인 기준으로 착하게 살아갈 수는 있지만 하느님의 선에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전혀 새로운 모터가 필요하고 그것은 바로 말씀의 씨앗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계시 진리를 배워 습득할 필요가 있고 또 그것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교회는 공동체를 이루고 서로 부딪혀가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들을 파견하시어’ - 단순히 너희끼리 잘 먹고 잘 살고 나중에 천국에서 보자고 하신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은 뚜렷한 목적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땅끝까지 당신의 말씀이 선포되게 하는 것이었지요. 그래서 제자들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고 나면 세상 밖으로 뻗어 나가야 했습니다. 우리는 흔히 ‘안주하는’ 신앙을 꿈꾸곤 합니다. 그저 주일미사나 열심히 나오고 별다른 걱정 없이 마음의 평화나 찾는 그런 고요한 신앙을 바라지요. 하지만 그것은 그 자체로 우리의 신앙이 그릇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왜냐하면 예수님은 그러한 신앙의 모습을 절대로 원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그 어떤 환경에서도 자신의 신앙을 증거할 자리가 있게 마련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내면을 성령으로 가득 채워야 하고 세상 밖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복음을 선포하게 하시며’ - 제자들이 세상에 나아가서 해야 할 사명은 다른 무엇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복음, 즉 기쁜 소식을 전하는 것이었습니다.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다가왔으니 회개하고 이 기쁜 소식을 믿어야 한다고 사람들에게 선포해야 했습니다. 가서 누가 더 옳은지 토론을 하고 있으라는 것이 아니었지요. 말씀을 받아들이는 이들이 있으면 거기 머무르면서 말씀을 전하고 그렇지 않다면 말씀을 받아들이는 이들을 찾아 나서야 합니다. 그리고 말씀을 전한다, 선포한다는 의미는 단순히 말마디를 현란하게 한다는 의미도 아닙니다. 그것은 삶과 더불은 증언으로 말씀을 전한다는 의미이지요. 즉 자신이 믿는 것을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복음을 선포한다는 의미는 참으로 방대하면서도 분명합니다. 이는 마치 사랑에 대해서 수많은 소설책이 있는 것과 같지만 누구나 사랑을 받고 싶어하고 우리는 누구나 사랑을 건넬 수 있는 상황과 비슷합니다.

‘마귀들을 쫓아내는 권한을 가지게’ - 복음을 전하는 데 걸림돌은 힘에 부치는 일이거나 무언가를 습득하는 난관이 아닙니다. 복음을 전하는 데에 가장 큰 걸림돌은 바로 ‘마귀’들입니다. 즉 어둠의 영을 지닌 자들과 그것을 조종하는 악한 영들이지요. 그래서 주님의 제자들은 다른 그 어떤 권한보다도 이 권한이 가장 필요한 셈입니다. 그리고 이 권한은 실제로 작동합니다. 안타깝게도 적지 않은 이들은 자신들에게 주어진 이 권한을 이용해서 어둠의 영들을 쫓아내기는 커녕 도리어 그들의 유혹에 넘어가기도 합니다. 하지만 주님의 제자는 이 권한을 이미 부여 받았다는 사실을 믿어야 합니다. 우리는 엉뚱한 능력들, 즉 이적을 행하거나 치유를 행하는 등등의 능력을 청할 것이 아니라 바로 이미 받은 이 능력을 이용해서 열심히 복음화에 힘쓸 필요가 있습니다. 즉 고해성사와 미사 성제를 통해서 사람들의 마음 속에서 어둠을 쫓아내어야 하는 것이지요. 사제는 이미 충분히 그 권리를 가지고 있고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은 몇 번을 반복해도 부족하지 않을 정도로 중요한 말이지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