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선교 7년차

선교를 한 지 햇수로만 7년차가 되었습니다. 아직 많이 모자란 느낌이 들지만 한국에서 파견된 여느 선교사에게 좀처럼 뒤지지는 않는 경력인 셈이지요.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느끼는 것은 선교는 연차로 따지는 게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선교는 ‘헌신’으로 따질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무엇에 헌신하는가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 수많은 시간을 자기 자신의 목적을 위해 헌신할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어느 공동체에 건물을 짓고 그룹을 형성하고, 언뜻 외적으로 드러나는 그 수많은 결과물들을 통해서 스스로를 내세우고 선교를 잘 하고 있다고 착각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굉장히 강한 유혹이지요.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선교의 나날들이 부정되는 느낌이 드니까요.

헌신이라는 의미의 이 선교는 바로 ‘하느님의 뜻’을 향한 헌신이어야 합니다. 하느님이 원하는 곳에 가고 하느님이 원하는 일을 하는 것이지요. 하느님의 이름을 팔아서 자신의 뜻을 이루는 선교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말입니다. 선교지의 사람들의 숫자를 늘리는 일은 사실 어렵지 않습니다. 부자 나라에 가서 불쌍한 표정을 좀 짓고, 불쌍한 현실을 이야기하고 그렇게 얻어온 기금으로 사람들을 동원해서 눈에 드러나는 건물을 짓고 입에 먹거리를 넣어주면 사람들을 모이게 됩니다.

하지만 그렇게 모인 이들은 그렇게 사라져 갑니다. 우리 나라의 전쟁 후에 밀려든 신앙인들을 두고 하는 말인 ‘밀가루 신자’라는 말 속에는 그나마 저의 막연한 환상이 깃들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저의 체험에 비추어 이제는 말할 수 있습니다. 참된 믿음의 헌신이 없이는 밀가루 신자가 보통 신자가 되지는 못한다는 것이지요. 그것은 선교사의 차원에서도 그리고 받아들이는 신앙인의 차원에서도 마찬가지인 셈입니다.

돈이나 다른 목적으로 모인 이들은 그 목적이 사라지고 나면 그들의 마음도 멀어져 갑니다.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그러한 것들을 이용할 수는 있어도 그것이 본질이 되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지 사람들이 모이는 것만을 목적으로 삼는 선교사들은 그러한 방법들에 중독되어 갑니다. 갖가지 행사와 건축과 구호활동을 통해서 사람들이 모여드는 것을 즐기지만 결국 그 선교사 자신의 내부에 그 어떤 ‘소금’도 없기에 결국 사람들에게 짠 맛을 주지 못하고 결국 자신이 지니고 있던 물질적인 것들, 재주들이 사라지고 나면 그 사람들도 덩달아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도 그렇게라도 모으는 것이 좋지 않은가?”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거듭 이야기하지만 ‘동기’를 제공할 수는 있어도 그것이 핵심의 자리를 차지해서는 안됩니다. 그렇게 모으는 게 무조건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모으고 난 뒤에 무엇을 줄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준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흔히들 어려운 나라에서 말도 다르고 문화도 다른 데 그저 사는 것만으로 선교라고 말을 하곤 합니다. 아닙니다. 비록 말이 다르고 문화가 달라도 뜨거운 신앙을 지닌 사람은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총 동원해서 신앙을 전합니다. 하지만 이런 의욕이 없는 사람, 그저 외국 생활을 시험삼아서 체험해보려고, 아니면 등떠밀려서 억지로 오는 이들은 온갖 민폐만 끼치고 떠나게 됩니다.

선교를 하러 왔으면 ‘선교’를 해야 합니다. 선교라는 말의 진정한 의미는 가르침을 전한다는 것이지요. 우리는 가난해서 더욱 희망이 없어 보이는 이 나라에 물질문명을 가르치러 오는 사람들이 아니라 영원한 희망을 심어주기 위해 오는 사람들입니다. 이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없으면 우리는 NGO가 되고 맙니다. 그리고 그런 일들은 세상 사람들이 오히려 우리보다 더 잘 합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선포해야 하고 그분의 영원한 생명을 선포해야 합니다. 이것이 선교 7년차 사제의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작은 결론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