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영성(espiritualidad)

영성에 관해서 오늘 저녁에 공소 축제 9일 기도에 가서 가르치기로 했습니다. 과연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요? 대충 흐름을 잡아볼까 합니다.

영성이라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을 이해해야 합니다. 우리는 단순한 동물이 아닙니다. 우리는 보다 고차원적인 존재입니다. 그래서 단순한 동물들이 살 듯이 살지 못합니다.

동물들은 본능에 따라서 충실히 생활합니다. 먹고 자고 하지요. 기분이 좋을 땐 좋고 나쁘면 나쁘고 그렇게 보다 단순한 삶의 패턴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인간은 참으로 미묘한 존재입니다. 마치 내면에 엄청난 공간이 있어서 모든 기억이 저장되고 우리가 원할 때면 그 기억을 고스란히 되꺼내어 재생시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아무리 기분 좋은 시기라도 내면의 공간에서 과거의 어두움을 꺼내면 고스란히 그 어두움에 사로잡히고, 반대로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과거의 행복함을 되새기면 거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이 영역(실제로는 ‘내면’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왜냐면 인간의 내면을 아무리 해부해보아도 만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내적 차원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듯 싶습니다.)이 바로 우리 영이 지니는 일부의 기능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영은 단순히 이 기능만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보다 방대하고 어마어마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것입니다.

인간이 인간인 이유는 바로 이 내면의 영역 때문입니다. 인간으로 태어난 모든 존재는 이 ‘가능성’을 지니고 태어나는 것이지요. 하지만 가능성이라고 해서 모두에게 다 온전히 열려 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우리는 얼마든지 이 영역을 감추고 살 수도 있고, 반대로 활짝 열고 살 수도 있습니다.

영성이라는 것은 바로 이 영의 막대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하나의 활동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수많은 영성들이 존재합니다. 여러가지 차원에서 인간을 조명하는 것이지요. 뭐든 이름만 붙이면 다 영성이 되는 셈입니다. 생태계 영성, 진리의 영성, 몸의 영성… 심지어는 쓰레기 영성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세상 것에 빗대어 내면을 관찰하고 내면의 영역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확장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이런 여러가지 혼잡스러움을 넘어서서 단도직입적으로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모든 영성은 ‘하느님’으로 통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느님을 제외하고는 영성에 대해서 언급할 수 없습니다. 언급한다고 해도 엉뚱한 이야기만 늘어놓게 되지요. 모든 영성의 근본은 하느님이십니다. 왜냐하면 그분은 우리가 믿는 대로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영의 영역의 확장은 어딘가로 국한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 마치 운동선수 가운데 수영을 잘하는 선수와 농구를 잘하는 선수의 종목이 다르지만 인간의 육체의 구조가 완전히 달라서 하나는 지느러미를 갖고 있고 다른 하나는 캥거루의 다리를 가지고 있지는 않은 것처럼 모든 인간의 영의 가능성은 모든 것에로 열려 있습니다. 그 가운데 보다 뛰어난 기능을 드러내는 것을 ‘카리스마’로 정의할 뿐이지요.

영성을 통해서 우리는 하느님에게로 다가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방법이라는 것은 세상이 우리에게 전하는 것처럼 복잡 다단한 것과는 오히려 정반대의 방향일 수 있습니다. 하느님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복잡하신 분이 아닙니다. 뭔가 음흉하거나 엉뚱한 생각을 자주 하시는 분이 아니라는 말이지요. 하느님은 오직 하나만을 가르쳐 오셨습니다. 그것은 ‘사랑’이었지요. 결국 사랑을 잘 하는 사람은 영성을 완성시켜가는 사람입니다.

영성의 복잡성은 인간에게서 나옵니다. 우리 인간이 단순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하느님께서 살라는 대로 살지 못합니다. 우리는 우리 개개의 우주를 만들어 버리지요. 즉 우리 인간의 고유한 이기심이 이 영성을 지독하게도 복잡 다단하게 만들어 버리는 셈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원했다가 또 저것을 원했다가 하느님에게 한 걸음 다가섰다가 또 반대로 돌아서서 달아나 버리기를 곧잘 합니다. 그러니 참으로 단순한 영성의 길이 각 사람에 따라서 그 복잡함을 더해가는 것입니다.

그럼 무엇을 해야 하는 걸까요? 각자에게 적합한 영성을 연구해서 매번 논문으로 쏟아내어야 하는 걸까요? 그럴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보다 단순한 중심으로 촛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그것은 ‘하느님’이시고 그것은 ‘사랑’입니다.

우리가 하느님의 사랑에 촛점을 맞추고 있으면 해야 할 일이 뚜렷해지기 시작합니다. 아무리 복잡한 문제가 내 앞에 놓인다 해도 우리가 바라보아야 할 방향을 올바로 바라볼 수만 있다면 그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는 방향을 잡아내는 것은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분쟁이 있는 곳에는 평화를, 굶주림이 있는 곳에는 자선을, 아픔이 있는 곳에는 위로를, 외로움이 있는 곳에는 위안을 주는 것이지요.

결국 영성의 근본은 하느님이십니다. 하느님을 바라보는 이는 모든 것에 균형이 잡혀 나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반대로 하느님에게서 멀어지는 이들은 모든 것에서 흐트러지기 시작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