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리비아에는 성소 부족이 큰 고민입니다. 아이들은 어린 시절부터 수도자나 신부가 되고 싶다는 꿈을 키우지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수도자나 신부를 만나기가 힘이 드는 환경입니다. 부모가 세례만 주고 성당에 다니지 않으니 아이들이 자기 혼자 성당으로 나오기는 힘이 드는 상황이지요. 첫영성체 나이가 되어서 비로소 몇몇 아이들이 성당에 나옵니다. 하지만 그 무렵에는 이미 가정 안에서의 불화와 상처가 가득한 아이들이 되어 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성당에서 바라보는 수도자나 사제는 대부분 ‘선교사’, 즉 이방인들이고 자신들과는 전혀 다른 삶을 사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 성소라는 꿈이 자랄 여지가 없지요.
청소년과 청년 시기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아이들은 이미 세상에 젖어 듭니다. 여학생들과 남학생들 모두 이성교제에 열을 올리고 외모를 꾸미는 데에 혈안이 되지요. 그리고 성인이 되기 전에 이미 성적 교제를 체험하게 됩니다. 결혼 전에 수많은 연인들을 거치는 경우도 허다하지요. 그러니 자연 성소가 부족할 수 밖에요. 그리고 신학교를 지원하는 것도 순수한 신앙적 열정이기보다는 가난한 지역 아이들의 생존의 수단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 사제가 되어도 신앙적 열정이 넘쳐 흐르기보다는 의무적으로 해야할 것을 하는 수준에 그치게 되고 그런 사제의 모습이 젊은이들에게 비춰지면서 성소 부족을 더욱 가속화 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볼리비아 교회는 이 문제를 두고 모임 때마다 단골 주제로 다루지만 별다른 진전은 없어 보입니다. 제도적인 문제 해결책을 놓고 고심할 뿐이지요. 근본적인 문제점은 바로 신앙적 열정이 부족한 것입니다. 안타까운 일이지요. 물론 하느님의 성령은 당신의 섭리 안에서 활동하시면서 성소를 일으키시겠지만 그 성령께서는 사제들과 신자들을 통해서 일하실 것입니다. 우리가 우리의 노력을 빌려드리지 않으면 그분은 당신께 순명하는 다른 이들을 찾아 나설 것입니다.
한 청년에게 신학교에 ‘가라’고 한다고 가는 게 아닙니다. 먼저 그 청년의 마음이 하느님을 향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하느님을 알고 사랑하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환경은 통상적으로 가정에서 만들어지지요. 모든 신앙인들은 ‘성소’에 책임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신앙인을 성숙하게 하는 것은 사목자와 수도자들의 몫이지요. 성소의 위기는 단순히 교계제도에 몸담는 이의 숫자의 감소 여부가 아닙니다. 성소의 위기는 결국 우리 신앙의 위기입니다.
청소년과 청년 시기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아이들은 이미 세상에 젖어 듭니다. 여학생들과 남학생들 모두 이성교제에 열을 올리고 외모를 꾸미는 데에 혈안이 되지요. 그리고 성인이 되기 전에 이미 성적 교제를 체험하게 됩니다. 결혼 전에 수많은 연인들을 거치는 경우도 허다하지요. 그러니 자연 성소가 부족할 수 밖에요. 그리고 신학교를 지원하는 것도 순수한 신앙적 열정이기보다는 가난한 지역 아이들의 생존의 수단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 사제가 되어도 신앙적 열정이 넘쳐 흐르기보다는 의무적으로 해야할 것을 하는 수준에 그치게 되고 그런 사제의 모습이 젊은이들에게 비춰지면서 성소 부족을 더욱 가속화 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볼리비아 교회는 이 문제를 두고 모임 때마다 단골 주제로 다루지만 별다른 진전은 없어 보입니다. 제도적인 문제 해결책을 놓고 고심할 뿐이지요. 근본적인 문제점은 바로 신앙적 열정이 부족한 것입니다. 안타까운 일이지요. 물론 하느님의 성령은 당신의 섭리 안에서 활동하시면서 성소를 일으키시겠지만 그 성령께서는 사제들과 신자들을 통해서 일하실 것입니다. 우리가 우리의 노력을 빌려드리지 않으면 그분은 당신께 순명하는 다른 이들을 찾아 나설 것입니다.
한 청년에게 신학교에 ‘가라’고 한다고 가는 게 아닙니다. 먼저 그 청년의 마음이 하느님을 향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하느님을 알고 사랑하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환경은 통상적으로 가정에서 만들어지지요. 모든 신앙인들은 ‘성소’에 책임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신앙인을 성숙하게 하는 것은 사목자와 수도자들의 몫이지요. 성소의 위기는 단순히 교계제도에 몸담는 이의 숫자의 감소 여부가 아닙니다. 성소의 위기는 결국 우리 신앙의 위기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