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자기들만 먹는 목자들


불행하여라, 자기들만 먹는 이스라엘의 목자들! 양 떼를 먹이는 것이 목자가 아니냐? 그런데 너희는 젖을 짜 먹고 양털로 옷을 해 입으며 살진 놈을 잡아먹으면서, 양 떼는 먹이지 않는다. 너희는 약한 양들에게 원기를 북돋아 주지 않고 아픈 양을 고쳐 주지 않았으며, 부러진 양을 싸매 주지 않고 흩어진 양을 도로 데려오지도, 잃어버린 양을 찾아오지도 않았다. 오히려 그들을 폭력과 강압으로 다스렸다. 그들은 목자가 없어서 흩어져야 했다. 흩어진 채 온갖 들짐승의 먹이가 되었다. 산마다, 높은 언덕마다 내 양 떼가 길을 잃고 헤매었다. 내 양 떼가 온 세상에 흩어졌는데, 찾아보는 자도 없고 찾아오는 자도 없다. (에제 34,2-6)

목자들이란 양 떼를 먹이는 이들, 양 떼를 모으고 보호하고 보살피는 이들입니다. 이것이 직분을 맡은 이들의 사명이지요. 그가 사제이건 평신도이건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교회 안에서 모종의 직분을 맡게 되면 목자의 일을 나누어 맡게 되는 셈입니다. 그리고 그 목자의 일이라는 것은 양 떼를 모으고 보호하고 보살피는 일입니다.

헌데 그 일은 소홀히 하고 오히려 ‘젖을 짜 먹고 양털로 옷을 해 입으며 살진 놈을 잡아먹고, 폭력과 강압으로 다스리고, 양 떼를 흩어버리는’ 목자가 있어 하느님은 당신의 예언자를 보냅니다.

양들의 젖을 짜 먹는다는 것은 그들의 소출을 갈취한다는 것입니다. 일하지도 않으면서 그들의 재물을 누린다는 뜻이지요.

옷을 해 입는다는 것은 공연한 명예를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양 본연의 냄새를 풍기는 것이 아니라 억지로 덮어 쓴 양들의 명예를 얻는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살진 놈을 잡아먹는다는 것은 양들 가운데 가장 통통하게 살이 오른, 즉 참으로 신심이 깊고 열심한 신앙인의 신뢰를 무너뜨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폭력과 강압으로 다스린다는 것은 그 반대, 즉 온유와 친절로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억지로 끌어 당기고 겁을 집어먹게 하고 횡포를 부린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나아가 그들은 다음과 같은 행동을 실천하지 않습니다.

약한 양들의 원기를 북돋운다는 것은 내면이 약한 이들, 여러가지 정신적인 아픔이나 영적인 아픔 속에서 힘들어하는 이들을 일으켜 세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죄지은 이들에게 하느님의 자비를 알리고 부족한 이들에게 함께 가자고 손을 내미는 것이지요.

아픈 양을 고쳐준다는 것은 결함이 있는 양들을 치유한다는 의미입니다. 인간의 내면은 죄로 인해서 상처를 입을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나약해진 것이 아니라 병든 것이지요. 그런 양들은 치유가 필요합니다. 올바른 가르침과 사랑으로 치유를 이루어야 합니다.

부러진 양을 싸매는 것은 그 결함이 단순히 내적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외적으로 드러나는 이들을 말합니다. 내면의 은근한 죄가 아니라 공개적으로 드러난 죄인들도 애써 보듬고 싸매는 것을 말하지요.

흩어진 양을 도로 데려온다는 것은 정신이 산만해지고 하느님에게서 멀어지는 양들을 다시 되찾아 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엇이 참된 가르침인지를 알려주고 다시 올바로 생각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것이지요.

잃어버린 양을 찾아 온다는 것은 우리 밖으로 벗어난, 그야말로 어둠의 길을 걷고 있는 양들 마저도 찾아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헌데 예언자 당시의 목자들은 이 일들을 전혀 하지 않은 것이지요.

목자가 그렇게 행동할 때에 양들은 뿔뿔이 흩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흩어진 양 떼들은 온갖 들짐승들, 즉 세상의 온갖 추잡한 생각들의 희생양이 되어 버리지요. 양 떼는 그렇게 흩어지지만 찾아가는 이도 찾아오는 이도 없었지요. 그래서 하느님은 그 모습에 너무나도 마음이 아프셨습니다.

목자가 꼭 사제라는 법은 없습니다. 사제는 신자들의 목자이고, 신자들은 세상에 흩어진 하느님의 자녀들의 목자 역할을 해야 합니다. 우리는 어느 누구도 예외가 될 수 없습니다. 적어도 하느님의 뜻에 순명하는 양 떼가 되던가, 아니면 적어도 교회 욕을 먹이는 행동을 하는 신앙인은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