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사, 부분대사(한대사)
찬미예수님,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네에~ 안녕하세요~ 왁자지껄~)
자자, 우리 친구들 조용히 해야 신부님 말씀 잘 들을 수 있겠죠?
다들 쉬하고 왔나요? 네, 좋아요.
오늘은 신부님이 조금 어려운 걸 가르쳐 줄거예요.
그러니까 잘 귀 기울여 들어야 해요 아셨죠?
(네에~ 까르르르르르)
오늘 신부님이 가르쳐 줄 건, '전대사'라는 건데요. 혹시 들어본 친구 있어요?
'대사관은 들어봤어요!'
아니아니 아니죠~ 그런 대사가 아니예요.
지금부터 신부님이 하는 이야기 잘 들어보세요.
(누군가 쉽게 설명해달라고 해서 어린이 강론 형식을 빌었는데... 뭔가 이상하네요. 본론 들어갑니다.)
우리 친구 중에 누가 유리컵을 깨었어요.
그럼 우리 친구들이 놀라겠죠?
그리고 엄마에게 혼날 게 걱정이 되기도 할 거예요.
하지만 엄마는 달려와서는 우리 친구들 보다도 더 놀래시면서
깨진 컵보다는 우리 친구들을 걱정해주시죠?
이게 하느님 마음이예요.
하느님은 우리 친구들이 잘못했을 때에
우리 친구들의 마음을 더 걱정해주시는 분이세요.
우리 친구들은 그래서 하느님에게 '잘못했습니다'하고 용서를 청하기만 하면 되는 거예요.
그럼 하느님은 우리 친구들을 용서해 주세요.
우리가 잘못을 저지르고 용서를 청하면
그 죄는 기꺼이 용서를 받게 되요.
하지만 죄는 용서 받아도 아직 깨진 유리조각이 바닥에 흩뿌려져 있어요.
이처럼 그 행위의 결과, 죄의 결과가 주변에 남게 되는데,
우리는 그것을 스스로 메꾸어야 해요.
그것을 보속(補贖)행위라고 하지요.
하지만 많은 경우에 우리 스스로 그것을 온전히 메꿀 수 없는 경우가 많아요.
내가 무심코 퍼뜨린 헛소문이나 남을 험담하는 말들처럼
누구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모를 일들이 너무나 많거든요.
그렇게 어딘가에 남아 있을지도 모르는 죄의 결과들을
모조리 메꾸기 위해서 교회가 허락하는 특권이 바로 '전대사'랍니다.
예를 들면 이런 거예요.
우리 친구가 컵을 깨었는데 그걸 치울 능력이 없어요.
그럴때 엄마가 이렇게 이야기를 하죠.
'우리 친구가 앞으로 학습지 한 장 다 풀면 엄마가 저 컵 다 치워주마'라고 하는 것과 같아요.
그래서 전대사는 소중한 것이지요.
이와 조금 다른 것으로 '부분대사'라는 것은,
그 모든 결과가 아니라 일부를 조금씩 치워 나가는 것을 말하는 거예요.
전대사는 교회가 정한 특별한 시기에 특별한 활동으로 다가오지만,
부분대사는 우리의 일상적인 '기도, 단식, 자선'으로 이루어진답니다.
(죄송합니다. 어린이를 위한 설명을 시도하다가 결국에는... (ㅡ_ㅡ;;;) 어린이 강론 너무 힘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