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유치원생이 가야 할 길이 있고 대학원생이 가야 할 길이 있습니다. 그래서 주님의 유혹의 여정을 듣고 배우기는 하되 우리에게 같은 유혹이 오리라고 착각해서는 안됩니다. 우리는 아마 악마가 오기도 전에 우리 스스로 악마에게 길을 터주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수님에게 다가온 첫 번째 유혹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와 관련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를 위해서 신앙인의 존엄을 버릴 것인가를 유혹하는 데 있었습니다. 세상의 것들을 추구하는 것 자체가 죄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자녀들로서의 존엄을 버릴 정도로 세상을 추구할 것인가 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였습니다. 아닌 게 아니라 오늘날은 그저 아주 작은 세상의 기회에도 신앙의 여정을 쉽게 내던져 버리는 이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누가 주말에 여행 가자고 하면 주일미사를 우습게 여기고, 그 밖의 여러 기회에서도 신앙의 고귀한 것들을 헌신짝처럼 여기는 이들을 만나는 것은 이제는 아주 쉬운 일이 되고 말았습니다.
예수님에게 다가온 두 번째 유혹은 권세와 영광이었습니다. 사실 어떤 경우에는 이것이 일상의 삶을 우선할 때가 있습니다. 빚을 내면서도 정치권에 도전하고 명예가 실추된다고 생각할 때에는 일상을 던져두고 자존심 싸움을 하는 이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인간 내면에 형성되는 이 권세와 영광에 대한 욕구는 생존에 대한 기본적인 욕구마저 앞질러 버리는 것입니다. 앞서도 말했지만 세상 안에서 정당한 권세를 얻고 정당한 영광을 누리는 것 자체가 죄가 아닙니다. 다만 그것을 얻기 위해서 악마, 즉 거짓된 영에게 우리의 영의 존엄을 내어바치는 행위를 할 때에 문제가 됩니다. 학교에서 성실히 일해온 학교 선생님이 존경을 받는 것은 정상적인 일이고 마땅히 그렇게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누군가를 속여 부당하게 다른 이의 영광을 자신이 쥐는 것이라면 옳지 않습니다. 악마는 예수님에게 그 제안을 하는 것이고 예수님은 성경 말씀으로 이를 극복합니다.
이 두 번의 유혹에 실패한 악마는 마지막 유혹, 즉 스스로를 신뢰하는 유혹을 던집니다. 태초에 아담과 이브가 겪었던 교만의 유혹, 스스로 하느님이 되는 유혹을 던졌습니다. 사람은 결국 최종적인 영역에서 스스로가 추구하는 것을 하고 싶어합니다. 하느님에게 순명하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궁극적으로 스스로가 온 세상의 구심점이 되고 중심이 되고 싶어합니다. 악마는 자신이 겪고 빠져든 궁극의 유혹을 내던졌고 예수님은 하느님께 대한 신뢰로 이를 이겨냅니다.
유혹은 끝난 게 아닙니다. 그저 이번에 멈추었을 뿐입니다. 유혹은 예수님의 생애 내내 반복되었고 이제 예수님은 부활하셨으니 그 유혹은 예수님의 지체들을 향해서 내려왔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유혹의 어쩌면 가장 낮은 단계에서조차도 너무나 쉽게 쓰러지고 일어나고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말씀과 친숙해 져야 하고 인내와 끈기를 길러야 합니다. 유혹은 우리의 생애 내내 다가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