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악인에게 맞서지 마라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악인에게 맞서지 마라. 오히려 누가 네 오른뺨을 치거든 다른 뺨마저 돌려 대어라. 또 너를 재판에 걸어 네 속옷을 가지려는 자에게는 겉옷까지 내주어라. 누가 너에게 천 걸음을 가자고 강요하거든, 그와 함께 이천 걸음을 가 주어라. 달라는 자에게 주고 꾸려는 자를 물리치지 마라. (마태 5,39-42)

이기심과 탐욕은 사람을 눈멀게 하는 대표적인 두 가지입니다. 자기 자신의 욕구에만 집중하는 이기심은 우리가 눈을 감아 버리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리고 외적 사물에만 집착하게 하는 탐욕은 우리의 눈 앞에 망원경을 두어서 어느 사물 하나만 바라보고 바로 곁에서 일어나는 일을 보지 못하게 만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런 이기심과 탐욕에 사로잡힌 이들은 그 내면을 서서히 ‘악’으로 변질시켜 가게 됩니다. 자신의 욕구를 채우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선’이 별로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착하게 살려면 그저 자신이 흘린 땀의 결과물에 만족해야 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그들은 자신들의 욕구의 방향을 따라 걷다가 어느 순간 자유의지의 선택을 맞이하게 되고 ‘악’을 선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악인’이 되어 가는 것이지요.

예수님의 오늘 말씀은 모든 사람에 대해서 주는 행동양식이 아니라 바로 악인에게 맞서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오히려 악인이 ‘갈취’하려고 드는 것을 내어 주어야 한다고 하지요. 그것도 그가 원하는 것을 훨씬 넘어서서 내어 주어야 한다고 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표현들을 들으면서 좀처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악인은 맞서 싸워야 할 판에 도로 악인의 술수에 더욱 넘어가게 방조하고 또 그로 인해서 ‘악인’이 추구하는 나쁜 방향을 허용하고 그의 악을 조장하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악인의 악으로부터 당신의 자녀들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악인의 그 악한 의도에 물들어 우리도 악한 것을 끄집어 내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지요.

이제부터 마음을 모으고 설명에 집중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악인은 자신이 갖기로 작정한 것을 얻기 위해서 멈추지 않습니다. 그리고 일단 시작한 악행을 계속해 나가는 것이 통상적입니다. 그리고 자신이 펼친 그 악한 의도의 마수에 닿는 것들을 파괴시켜 나갑니다. 그들도 자기 나름의 ‘법칙’이 있어서 모든 것을 다 원할 수는 없다는 것을 압니다. 하지만 기회가 닿는 대로 자신 안으로 끌어들여서 자기 것으로 삼고 그것을 착취하려 하지요. 그들의 악한 의도는 마치 상처를 감염시켜 버리는 세균과도 같은 것입니다.

그런 그들에게서 악한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단순히 물러서 있는 것만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우리는 온실 속의 화초가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아무리 노력해도 완전히 벗어날 수 없습니다. 우리는 그들과 함께 살아가고 그들과 때로는 맞닥뜨려야 합니다. 헌데 그들의 그 영적 감염성은 꽤나 적극적인 것이어서 우리는 단순히 그들이 원하는 부분만을 내어주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인 ‘사랑’을 내어줘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그들의 악함이 우리를 공략하는 것 이상으로 우리는 사랑을 드러내어야 하는 것이지요.

마치 상처가 감염되었는데 단순히 감염 부위를 떼어내고 붕대를 덮는 것이 아니라 그 자리에 소독약을 바르고 항생제 처방을 받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저 감염거리만을 떼어내기보다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것이지요. 악에 맞서는 우리 신앙인들의 자세는 소극적인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것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아마 이렇게 설명을 해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는 사람이 여전히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이는 ‘지성적’인 해결이 아니라 ‘실천적’인 해결이기 때문입니다. 오직 사랑을 실천해 본 사람, 누군가의 악에 적극적으로 맞대응해 본 사람이라야 제가 하는 설명을 올바로 이해하리라 생각합니다.

여전히 수많은 사람들은 악인에게 ‘맞서고’ 있습니다. 그들의 싸움은 끝이 없을 것입니다. 성경의 다른 표현처럼 마지막 한 닢까지 갚기 전에는 결코 그 ‘분쟁’의 감옥에서 나올 수가 없을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