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관점의 전환(마르코 9장, 10장)


마르코 복음 9장 10장

"관점의 전환"

마르코 복음 9장과 10장에 걸쳐 나오는 이야기는
예수님의 가르침 중에 가파른 상승의 단계로서
통칭해서 "관점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수님은 이 두 장을 걸쳐서 드러나는 삶을 통해 제자들의 사고를 바꾸고자 노력하신다.

그 첫 시작점은 거룩한 변모로 유명한 장면.
높은 산에 올라가 일단 한 번 제대로 보여주신다.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들에게 본격적인 가르침을 시작하기에 앞서
실제로 보여주신 것이다.
하지만 제자들은 어안이 벙벙할 뿐,
자신이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무슨 생각을 해야 할지 모르는 상태이다.
진정한 영광을 보이는 모습으로 목격하였지만,
목격한다고 해서 그것이 마음으로, 삶으로 내려온다고 한다면 큰 착각이다.

엘리야는 이미 다시금 왔지만 아직도 사람들은 도무지 그를 받아들이지 못했다.
엘리야는 이 시대에도 온다.
예언자는 온다.
우리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음을 알려주기 위해서 늘 우리 주변에 있어왔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가 다루고 싶은 대로 그들을 다루어 왔다.
예수님의 변모, 엘리야의 다가옴은
추상적인 어떤 사건, 과거의 어떤 사건이 아니라,
현재 우리에게 일어나는 사건이다.

이어 예수님은 간질병에 걸린 아이를 고치면서
'믿음'과 '기도'의 중요성을 깨우쳐준다.
기도하는 사람은 믿는 사람이다.
믿는 사람은 기도하게 된다.
이 둘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기도하지 않는 사람은 믿지 않는 사람이다.
믿지 못하는 사람은 기도하지 않는다.
기도하지 않으면서 믿는다고 외쳐봐야 소용없고,
믿지 않으면서 기도하려 애써봐야 헛물 켜는 거다.(그 기도는 곧 그치게 된다.)

이는 마치 사랑한다면서 그와 절대 연락은 안하려는 것과 같다.
그와 어쩔 수 없이 연락은 하면서 내면으로는 사랑하지 않는 것과도 같다.
사랑하면 만나고 싶어지게 되고,
자꾸 만나면 더욱 사랑하게 되는 법이다.

기도하지 않으면서 믿는다고 하지 말 것이며,
믿지도 않으면서 믿음에 따르는 일들을 하려 들지 말 것이다.

그러는 가운데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부활이 두번째로 예고된다.
고통을 받는다고 하는데
죽어야 한다 하는데
그러고서야 부활이 있다고 하는데...
과연 얼마나 알아 들었을까?

다음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제자들은 하나도 알아듣지 못했다.
그들은 누가 더 첫째인가를 두고 서로 싸우고 앉았다.
예수님은 첫째가 되려면 말째가, 모든 이의 종이 되라고 하신다.

그리고 이런 영적인 차원을 보다 강한 비유로 가르치신다.
죄를 짓느니 차라리 몸의 지체를 떼어 버리란다.
그 정도로 죄에 대한 경각심, 영적인 차원을 염려하라고 가르치신다.
그 영적인 차원을 유지하는 비결은 '소금'이고,
서로간의 평화를 가져다 주는 그 '소금'은
다름아닌 진정한 사랑이다.

혼인에 대한 가르침에서도 예수님의 관점의 핵심을 볼 수 있다.
사람들은 혼인을 생각하메 서로가 맺은 계약만을 생각한다.
하지만 예수님은 그 계약 이전에 하느님과의 계약을 상기시킨다.
두 사람의 영원의 약속은
두 사람만의 것이기 이전에,
하느님과의 약속이다.
그것을 상기해야 한다.

이러한 '하느님'에 대한 수용은
아이들의 모습에서 발견할 수 있다.
아이들은 '하느님'을 안다.
그냥 받아들인다.
우리는 확인해야 한다.
두 눈으로 곱씹어보고 증명을 받아내야 한다.
'믿을 건덕지가 있어야' 믿는다.
하지만 아이들은 '하느님'을 그저 받아들인다.

이어 부자 청년이 나오고,
현세적인 모든 절도를 다 지켰지만,
예수님은 보다 더 깊은 차원으로 인도하신다.
신앙은 '규율의 준수'에 있는 게 아니라
'사랑의 실천'에 있는 법이다.
이 예수님의 사랑은
반드시 자신의 '희생'을 요구한다.
(물론 그것이 늘 재물을 다 환원하라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 부자청년에게는 그것이 필요했다.)
인간의 계산으로는 절대로 불가능한 그 일이
하느님의 은총으로는 모두 가능해진다.

예수님을 따르는 이들은
현세적으로 잃어버린 소중한 것들을 모두 얻어만나게 된다.
(다만 이 가운데 '돈'이라는 항목은 없다는 걸 주목하자.)

예수님은 3번째로 수난, 죽음, 부활을 예고하시지만
제자들은 이어서 바로 예수님의 영광에 왼쪽 오른쪽 자리를 달라며 나서고
그 두 제자들 때문에 나머지 제자들은 기분나빠한다.

이 순간까지도,
하나도 깨닫지 못했다.

끝으로 예리고의 소경의 구원의 단계이다.
사람들의 질책을 두려워하지 않음 = 믿음
겉옷을 내던져버림, 세상 재물을 두려워하지 않음 = 믿음
이 두 가지 믿음을 드러내고 그는 빛을 받고는
예수님을 따른다.

사람과 재물에서의 자유...
그리고 하느님을 따름.

9장과 10장을 멋지게 마무리하는 좋은 예시이다.
당신에게 '관점의 전환'은 이루어졌는가?
아니면 아직도...
더 많이 가지고,
더 좋은 것을 가지고,
남들 위에 서고 싶은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