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라는 것은 참 지독한 것이지요. 더군다나 그것이 ‘ 성화(聖化)’와 관련될 때에 사람들은 자신들이 노력해서 충분히 가질 수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노력은 하기 싫고 다른 사람이 그것을 가지고 있는 것은 부러우면서도 그것을 이루기는 싫을 때에 상대를 박해하고 폄하하려는 나쁜 마음을 지니게 됩니다. 예수님을 비롯하여 수많은 성인들이 박해를 받은 이유는 바로 거기에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스스로 하느님에게 다가가려는 노력은 하지 않고 하느님 가까이에 머무르는 사람을 그 자리에서 끌어 내리려고 안간힘을 쓰곤 하지요. 시기는 분명한 어둠의 행위입니다. 시기에 사로잡힌 이를 마주하고 있으면 머리가 지끈거립니다. 얼마든지 마음을 바꾸어 착하고 올바르게 될 수 있는데 자기 스스로 그것을 거부하고 선한 상대를 향해서 부정적인 마음을 한껏 끌어올리는 그를 바라보고 있자면 머리가 지끈거릴 수 밖에요. 사람들의 인기는 얻고 싶은데 본인이 착하게 되기는 싫고, 그래서 선택하는 차선책이라는 것이 인기를 얻고 있는 이의 명예를 훼손해서 끌어내리려는 시도라니 참으로 그 영혼은 비참하기 짝이 없습니다.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