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외로 저는 부유한 동네에 머물 기회가 좀 있었습니다. 물론 서울의 엄청난 곳이라던가 미국의 어마어마한 곳은 아니지만 그래도 나름 한국에서 값나가는 동네였습니다. 거기에서 저는 좀 있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은 ‘장’이나 ‘사’자를 끝마무리에 다는 직분을 지닌 분들이었지요. 원장, 관장, 사장, 박사, 의사, 변호사... 참으로 교양있는 분들이었습니다. 어느 고급 레스토랑에 가던지 식기를 순서대로 쓸 줄 아는 분들 같아 보였지요. 하지만 그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자존감’
저마다 자존감이 엄청나게 강한 분들이었습니다. 지니고 있는 상식과 교양 때문에 엄청 참고 있기는 했지만 결국에는 드러날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붉은 피가 흐르는 심장을 휴지로 아무리 감싸봐야 결국에는 그 피가 배어나오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들은 모두 자존감이 엄청난 사람들이었습니다. 자신이 지닌 직분에 대해서 엄청난 자존감을 지니고 있었고, 그 자존감은 자신의 영역을 넘어서 다른 모든 것에도 적용되고 있었습니다. 그 자존감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말에 집중하기를 바랬고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으면 상당히 기분을 상해하는 것 같았습니다. 자신이 겪어온 인생 여정에 대해서 얼마나 반복했을는지 모를 정도로 말만 시작하면 준비된 대사가 좌르르 쏟아져 나왔습니다. 그러나 그 안에 든 결론은 언제나 동일했습니다. ‘나는 이렇게 대단한 사람이다.’라는 것이었지요. 거의 한치의 오차도 없이 그들이 말을 시작하면 언제나 귀결은 똑같았습니다. 행여 모임 안에 그런 사람들이 몇 명 있으면 아주 굉장히 시끄러워집니다. 저마다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고 말을 하기는 하는데 듣는 사람은 없어 보였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이 ‘성당 안’이라는 것이었지요. 무슨 말인고 하니 어쩔 수 없이 사제의 권위에는 그나마 ‘외적 존경’을 보였습니다. 아마 그것이 성당 안에서 합의된 교양이니 그렇겠지요. 외적 존경이라고 하는 이유는 그들이 그 최종 권력자 사제가 없는 곳에서 어떤 말들을 나누는지 들어볼 기회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당시만 해도 저는 ‘보좌’에 불과했으니까요. 그들은 사실 그 어떤 권위에도 존경을 내비치지 않고 있었습니다. 만일 그런 이들이 밖에서 만난다면 그 가운데 끼인 아무런 직분이 없는 사람은 얼마나 피곤할까 싶었습니다.
물론 모두가 다 그런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 가운데에는 진정 신심있는 분들도 있었고 헌신적으로 봉사하는 분들도 있었지요. 그런 분들은 겸손을 타고난 분들 같았습니다. 그러나 적지 않은 숫자에게서 비슷한 모양을 보았습니다. 저마다 자신을 최고로 내세우는 이들이었지요.
자존감은 필요한 것입니다. 인간은 자기 스스로를 지탱하는 생각을 지니고 있어야 하고 자기 자신을 사랑해야 하지요. 하지만 간혹 도를 넘는 자존감은 오히려 자기 스스로를 무너뜨리지만 그것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른 표현으로 허영과 교만이라고도 하지요. 자존감은 어디까지나 자신의 한계를 올바로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불구하고 하느님 앞에서 사랑받는 한 인간으로서 스스로를 감싸 안을 때에 표현할 수 있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존감’
저마다 자존감이 엄청나게 강한 분들이었습니다. 지니고 있는 상식과 교양 때문에 엄청 참고 있기는 했지만 결국에는 드러날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붉은 피가 흐르는 심장을 휴지로 아무리 감싸봐야 결국에는 그 피가 배어나오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들은 모두 자존감이 엄청난 사람들이었습니다. 자신이 지닌 직분에 대해서 엄청난 자존감을 지니고 있었고, 그 자존감은 자신의 영역을 넘어서 다른 모든 것에도 적용되고 있었습니다. 그 자존감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말에 집중하기를 바랬고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으면 상당히 기분을 상해하는 것 같았습니다. 자신이 겪어온 인생 여정에 대해서 얼마나 반복했을는지 모를 정도로 말만 시작하면 준비된 대사가 좌르르 쏟아져 나왔습니다. 그러나 그 안에 든 결론은 언제나 동일했습니다. ‘나는 이렇게 대단한 사람이다.’라는 것이었지요. 거의 한치의 오차도 없이 그들이 말을 시작하면 언제나 귀결은 똑같았습니다. 행여 모임 안에 그런 사람들이 몇 명 있으면 아주 굉장히 시끄러워집니다. 저마다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고 말을 하기는 하는데 듣는 사람은 없어 보였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이 ‘성당 안’이라는 것이었지요. 무슨 말인고 하니 어쩔 수 없이 사제의 권위에는 그나마 ‘외적 존경’을 보였습니다. 아마 그것이 성당 안에서 합의된 교양이니 그렇겠지요. 외적 존경이라고 하는 이유는 그들이 그 최종 권력자 사제가 없는 곳에서 어떤 말들을 나누는지 들어볼 기회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당시만 해도 저는 ‘보좌’에 불과했으니까요. 그들은 사실 그 어떤 권위에도 존경을 내비치지 않고 있었습니다. 만일 그런 이들이 밖에서 만난다면 그 가운데 끼인 아무런 직분이 없는 사람은 얼마나 피곤할까 싶었습니다.
물론 모두가 다 그런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 가운데에는 진정 신심있는 분들도 있었고 헌신적으로 봉사하는 분들도 있었지요. 그런 분들은 겸손을 타고난 분들 같았습니다. 그러나 적지 않은 숫자에게서 비슷한 모양을 보았습니다. 저마다 자신을 최고로 내세우는 이들이었지요.
자존감은 필요한 것입니다. 인간은 자기 스스로를 지탱하는 생각을 지니고 있어야 하고 자기 자신을 사랑해야 하지요. 하지만 간혹 도를 넘는 자존감은 오히려 자기 스스로를 무너뜨리지만 그것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른 표현으로 허영과 교만이라고도 하지요. 자존감은 어디까지나 자신의 한계를 올바로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불구하고 하느님 앞에서 사랑받는 한 인간으로서 스스로를 감싸 안을 때에 표현할 수 있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