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지구 사제 회의가 있었습니다. 회의 주제는 ‘혼배 교육’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이해가 조금 필요합니다. 볼리비아에서 사람들은 성사생활을 올바로 이행하지 않습니다. 보통은 세례 증명서를 얻기 위해서 유아 세례만 받고 끝나기 때문에 신앙생활의 의미에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직도 많은 관공서에서는 한 사람이 주민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을 시에 세례 증명서를 요구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 이유 하나로 아이들에게 세례를 주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다음에 이어지는 후속 교육이 전혀 없는 셈이지요. 그러다가 성체성사를 대변하는 첫영성체와 견진성사, 그리고 혼배성사라는 3가지 주된 성사를 받으면 자신의 구원이 완성된다고 생각하기에 그나마 구원에 관심이 있는 이들은 이 세가지 성사를 놓치지 않고 받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혼배성사는 남미에서 한 사람이 마지막으로 준비해서 받을 수 있는 성사인 셈이지요. 그래서 교회 차원에서는 참으로 중요한 성사가 되는 것입니다.
헌데 여기 사람들, 아니 제가 사는 본당 사람들은 이 성사를 한가로이 준비할 여유가 없습니다. 물론 빈부의 격차가 심하기 때문에 시내 본당 사람들은 부유한 환경을 바탕으로 주말에 시간을 내어서 꾸준히 혼배교육을 받을 여건이 되지만 제가 일하는 본당 사람들은 대부분 일용직 노동자들이고 가난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럴 여유가 되지 못합니다. 그래서 다른 시내 본당들이 몇 주, 혹은 몇 달에 거쳐서 혼배를 준비시키고 가르치는 동안 제가 머무는 본당에서는 4일이라는 지극히 짧은 교육을 수료하고도 혼배를 주어야 하는 상황인 것이지요.
헌데 오늘 회의에서 ‘혼배 교육을 너무 짧게 주어서는 안된다. 교구 규정에 이렇게 저렇게 나오고...’라고 하면서 한 신부님이 발언을 한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도 손을 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저는 그런 교육의 기회가 바다에 그물을 쳐서 고기를 잡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어떤 그물을 쓰는가, 그리고 어떤 시기에 고기를 잡는가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구멍이 잔뜩 뚫린 그물을 오랫동안 쳐 둔다고 해서 고기가 많이 잡힐 리는 없을 것입니다. 차라리 잘 정비된 그물을 제때에 던져서 고기를 잡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혼배 교육을 함에 있어서 같은 생각을 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전해주는 혼배 교육은 과연 어떤 것일까요? 사람들이 그 교육을 듣고 과연 하느님에게로 마음을 돌이킬 수 있을까요? 아니면 그 지겨운 시간만 지나고 나면 해방감을 맛보고 다시는 교회에 돌아오지 않게 되는 것일까요? 과연 우리의 그물은 잘 정비된 것일까요?
그리고 무조건 교육 시간을 늘리자는 것은 일단 장시간 그물을 쳐두면 뭐라도 걸릴 거라고 생각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알지요. 첫영성체 교육과 견진 교육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렸지만 성과가 있습니까? 교육 시간을 단순히 늘린다고 사람들이 더 교회에 남게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뚜렷한 사실입니다. 오히려 우리는 두려움 없이 그물을 더 자주 던져야 합니다. 물론 자주 던지는 만큼 실패할 확률도 늘겠지만 성공할 확률도 늘 것입니다. 실패가 두렵다고 그물을 던지지 않으면 절대로 잃는 것은 없겠지만 동시에 얻는 것도 없는 셈입니다. 우리는 자꾸 제도를 정비할 것이 아니라 정말 우리가 복음의 열정으로 일하고 있는지를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잠시 회의가 이어진 뒤에 다시 발언 기회를 잡아 이야기를 했습니다.
“자꾸 회의 주제가 ‘정해진 교육 기간 규정의 준수’로 나아가는 것 같은데, 사실 저는 이 부분에서는 저 자신이 죄인입니다. 왜냐하면 그걸 지키지 못하고 있으니까요. 그러나 제가 사는 동네 사람들에게 그 규정을 지키라고 한다면 아마 결혼을 시도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얼마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나귀나 당나귀가 호수에 빠지면 건져내지 않겠습니까? 아무리 안식일이라도 해야 할 일은 해야지 않겠습니까? 예수님이 가르치신 말씀이지요. 저는 그렇게 합니다. 그래서 저는 제가 머무는 본당의 사람들을 열심히 도울 생각입니다. 물론 사제 양심으로 그렇게 하겠습니다. 살려야 할 사람이 있다면 살리겠습니다.”
모쪼록 모든 사제들이 두려움 없이 뜨거운 가슴으로 일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헌데 여기 사람들, 아니 제가 사는 본당 사람들은 이 성사를 한가로이 준비할 여유가 없습니다. 물론 빈부의 격차가 심하기 때문에 시내 본당 사람들은 부유한 환경을 바탕으로 주말에 시간을 내어서 꾸준히 혼배교육을 받을 여건이 되지만 제가 일하는 본당 사람들은 대부분 일용직 노동자들이고 가난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럴 여유가 되지 못합니다. 그래서 다른 시내 본당들이 몇 주, 혹은 몇 달에 거쳐서 혼배를 준비시키고 가르치는 동안 제가 머무는 본당에서는 4일이라는 지극히 짧은 교육을 수료하고도 혼배를 주어야 하는 상황인 것이지요.
헌데 오늘 회의에서 ‘혼배 교육을 너무 짧게 주어서는 안된다. 교구 규정에 이렇게 저렇게 나오고...’라고 하면서 한 신부님이 발언을 한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도 손을 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저는 그런 교육의 기회가 바다에 그물을 쳐서 고기를 잡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어떤 그물을 쓰는가, 그리고 어떤 시기에 고기를 잡는가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구멍이 잔뜩 뚫린 그물을 오랫동안 쳐 둔다고 해서 고기가 많이 잡힐 리는 없을 것입니다. 차라리 잘 정비된 그물을 제때에 던져서 고기를 잡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혼배 교육을 함에 있어서 같은 생각을 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전해주는 혼배 교육은 과연 어떤 것일까요? 사람들이 그 교육을 듣고 과연 하느님에게로 마음을 돌이킬 수 있을까요? 아니면 그 지겨운 시간만 지나고 나면 해방감을 맛보고 다시는 교회에 돌아오지 않게 되는 것일까요? 과연 우리의 그물은 잘 정비된 것일까요?
그리고 무조건 교육 시간을 늘리자는 것은 일단 장시간 그물을 쳐두면 뭐라도 걸릴 거라고 생각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알지요. 첫영성체 교육과 견진 교육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렸지만 성과가 있습니까? 교육 시간을 단순히 늘린다고 사람들이 더 교회에 남게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뚜렷한 사실입니다. 오히려 우리는 두려움 없이 그물을 더 자주 던져야 합니다. 물론 자주 던지는 만큼 실패할 확률도 늘겠지만 성공할 확률도 늘 것입니다. 실패가 두렵다고 그물을 던지지 않으면 절대로 잃는 것은 없겠지만 동시에 얻는 것도 없는 셈입니다. 우리는 자꾸 제도를 정비할 것이 아니라 정말 우리가 복음의 열정으로 일하고 있는지를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잠시 회의가 이어진 뒤에 다시 발언 기회를 잡아 이야기를 했습니다.
“자꾸 회의 주제가 ‘정해진 교육 기간 규정의 준수’로 나아가는 것 같은데, 사실 저는 이 부분에서는 저 자신이 죄인입니다. 왜냐하면 그걸 지키지 못하고 있으니까요. 그러나 제가 사는 동네 사람들에게 그 규정을 지키라고 한다면 아마 결혼을 시도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얼마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나귀나 당나귀가 호수에 빠지면 건져내지 않겠습니까? 아무리 안식일이라도 해야 할 일은 해야지 않겠습니까? 예수님이 가르치신 말씀이지요. 저는 그렇게 합니다. 그래서 저는 제가 머무는 본당의 사람들을 열심히 도울 생각입니다. 물론 사제 양심으로 그렇게 하겠습니다. 살려야 할 사람이 있다면 살리겠습니다.”
모쪼록 모든 사제들이 두려움 없이 뜨거운 가슴으로 일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