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마르코 복음 1장



마르코 1장

새로운 성경강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오늘부터 마르코 복음을 파고들어간다.

마르코복음은 짧으니만큼 핵심 내용이 잘 요약되어 있다.
1장을 아우르는 주된 내용은,
"요이~ 땅!"이다.
본격적인 달리기를 위해서 준비하고 그 첫걸음을 걷는 과정이 잘 담겨져 있다.

먼저 요한이 나타나 예수님을 모시기 위한 준비작업을 한다.
군대에서 '나라시'를 해 본 사람이면 알겠지만,
튀어나온 건 깎고, 부족한 건 채운다.
그것이 주님의 길을 준비하는 방법이다.
죄와 교만의 모난 부분은 깎고, 잃었던 영적인 힘을 채워야 한다.
주님이 오시는데, 나의 어두움을 계속해서도 안되고,
너무 처져 있어도 안된다.
깎고 채워라.

다음으로 예수님은 제자들을 부르신다.
부르심과 응답이라는 간단한 구조 속에서
우리는 하느님께서 먼저 우리를 부르셨다는 걸 배우게 된다.
그리고 우리가 그에 합당한 응답을 해야 한다는 것도.
제자들은 가지고 있던 걸 버려야 했다.
우리 역시 버려야 한다.
하지만 이 버림이 모든 걸 가차없이 내던지는 게 아니라는 걸 잘 알도록 하자.
고기낚는 '어부'가 사람낚는 '어부'가 되었다.
그들이 하는 일에는 바뀐 게 없다.
이 말이 의미하는 바는,
우리가 하는 일을 계속 하되 그 근본 방향을 바꾸라는 말이다.
하느님은 지금도 우리를 부르고 계시며 우리는 우리가 하는 일 속에서 응답을 해야 한다.
뭔가 다른 인격이 되라거나 다른 환경에 무턱대고 뛰어 들라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특별한 부르심과 응답은 따로 주어진다.
예수님은 우리를 일상 안에서 부르신다.

예수님의 권위는 당시의 율법 학자들과는 달랐다고 한다.
이는 율법학자들이 어떤 사람인지를 알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율법학자들은 쉬운 걸 어렵게 만들고, 자신들은 행하지도 않는다.
오늘날도 많은 곳에서 이런 이들을 관찰할 수 있다.
말만 많고 행하지 않는 이들.
괜히 쉬운 걸 복잡하고 어렵게 만드는 이들.
예수님은 삶 속에서 가르치셨고, 그분의 말은 힘이 있었다.
권위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예수님은 악마를 쫓아내는데,
악마들은 '예수님이 누군지 알고 있었다.'
많은 헛 신자들이 예수님을 알고 있다.
하지만 그분의 가르침을 살지는 않는다.
그들은 매번 이런 저런 규정들을 들이대면서
열심히 살고 있는 사람들의 행복마저 앗아가려 한다.
그들은 '마귀들린 사람들'이다.
마귀들은 인간의 제약과 불행을 사랑한다.

치유는 사탕이다.
예수님은 치유를 통해서 사람들을 어루만지셨고
손쉽게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복음의 첫 과정은 언제나 달콤함으로 시작해야 한다.
처음부터 초심자들에게 큰 짐을 지우지 않도록 하자.
충분히 그들이 사랑을 받았다고 느끼게 하고,
나아가서 그 뒤에 조금씩 진도를 나가야 한다.
그러지 않고 처음부터 어른들이 먹는 단단한 음식을 주면,
먹기도 전에 도망가 버리게 된다.

기도는 예수님의 양식이었다.
기도는 당신의 숨쉬기였다.
예수님은 기도를 통해서 하느님과 대화하셨고,
기도를 통해서 힘과 방향을 얻으셨다.
당신은 얼마나 대단한 누구길래 기도하지도 않으면서 신앙을 논하는가?

예수님은 치유를 할 때,
언제나 그의 기준에 맞춘다.
예수님께서 원하시기만 하면 이루어질 치료이지만,
나환자에게 손을 뻗어 그를 만지면서 친히 들으라고 말씀까지 해 주신다.
우리는 얼마나 사람들을 위해서 다가가는가?
그들이 원하는 것에로 얼마나 다가서 주는가?
혹,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만 들이밀고 있는 건 아닌가?
사제들이나 수도자들, 교리교사들이 반성해야 할 부분이다.

원래는 2장도 해야 하는데...
글 쓸 시간이 촉박하다.
다음 기회에...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