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창조3 - 노동과 휴식

하느님은 일을 마치고 쉬십니다. 그리고 그 날을 축복하십니다. 우리 주일의 기원이 되는 날입니다. 물론 원칙적으로는 토요일이 그 날이라고 하지만 우리 크리스천들은 ‘예수님의 부활’ 때문에 그 날의 의미를 일요일로 옮겨서 주일을 지냅니다.

주일은 휴식과 축복의 시간입니다.

휴식을 무시하는 것, 또 무조건 쉬려고 하는 것, 그리고 축복의 시간의 의미를 모르는 것이 문제입니다. 과거에는 휴식을 무시하는 일이 빈번했습니다. 인간의 몸과 정신은 반드시 휴식이 필요한데도 일주일 내내 무리하게 기계를 돌리니 무리가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다음으로 드러난 모습은 ‘지나친 휴식’입니다. 휴식이라는 의미를 무조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거나 무리하게 이런 저런 여가활동을 시도하는 등의 행위를 하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심지어는 주일미사조차도 거부하면서 휴식을 찾겠다고 나서는 게으른 사람이 나타나게 되고, 또 휴식의 진정한 의미를 찾겠다고 하면서 일보다 더 힘든 여가활동을 추구하는 이들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술도 마찬가지이니 몸을 상해 가면서 술자리를 가지는 것도 문제입니다. 특히 가톨릭 교회 내의 고질적인 문제 가운데 하나는 바로 이런 술자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종 모임마다 회식을 하고 우리는 개신교가 아니니 마치 술은 얼마든지 마셔도 된다는 식으로 생각하는 것은 문제가 심각합니다. 예수님도 포도주를 나누셨지만 예수님이 진탕 마시고 폭탄주를 만들어 마시고 코가 비뚤어지도록 마시지는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먹보요 술꾼’이라는 표현이 성경 안에서 등장한다고 해서 예수님에게 ‘절제’가 없었다고 억측하는 것은 순전히 억지일 뿐입니다.

휴식에 대한 진정한 의미, 그것은 육과 정신과 영의 휴식입니다. 육신은 적절한 휴식을 취해야 하고, 필요하다면 가벼운 운동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정신도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영혼은 그 내면에서 깊이 원하는 것을 추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하나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습니다. 영혼의 휴식은 과연 무엇을 의미할까요? 그것은 단 하나 뿐입니다. 영혼이 쉴 자리는 ‘하느님’ 뿐입니다. 하느님 없이는 영혼은 어딜 가도 휴식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주일에 미사를 드리는 이유는 바로 이 영혼의 휴식을 위한 것입니다. 하느님과 우리의 영혼이 만나도록 하기 위해서이지요. 영혼이 하느님을 만나면 기쁨에 가득찹니다. 마치 세례자 요한이 예수님을 태중에서 만난 것과 마찬가지이죠.

하지만 우리의 미사는 본래의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습니다. 미사 때문에 힘들다고 하고, 미사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는 것은 미사를 단순히 육신과 정신으로만 해석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성당에 쉬러 오는 것이 아니며, 우리는 성당에 그 어떤 정신활동도 없이 편안함을 추구하러 오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큰 착각입니다. 우리는 영혼이 하느님과 만나도록 하기 위해서 미사에 나오는 것이며 그것을 위해서 육신과 정신이 필연적으로 활동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주일미사에 참여하는 우리의 자세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모르는 수많은 이가 ‘나는 성당 안간다. 가서 도대체 쉴 수가 없다.’고 하는 것이지요.

참된 휴식의 의미를 회복해야 합니다. 만일 주일을 쉴 수 있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비정규직 노동자라면 주일에 기도하는 마음으로 일을 하고 주중에 쉬는 날을 택해서 미사를 드릴 수 있도록 하면 됩니다. 하느님은 생각만큼 째째한 분이 아니니 그 사람에게 축복을 가득히 내리시어 그토록 간절히 원하는 주일미사를 참례할 환경을 훗날 마련해 주실 것을 의심치 않습니다.

하느님은 시간을 축복하셨습니다. 주일의 참된 의미를 누리는 신자분들이 되셨으면 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