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나는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습니다. (로마 1,16)



복음을 부끄러워하는 건 무엇을 말할까요? 당연히 그저 쑥스러움이 많은 것을 가지고 복음을 부끄러워한다고 하진 않을 것입니다. 복음을 부끄러워하는 것은 좀 더 심층적인 것을 의미합니다.

복음을 부끄러워한다는 것은 ‘복음’ 자체에 대해서 수치를 느낀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이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복음’이라는 것을 올바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복음은 기쁜 소식입니다. 과연 우리는 무엇이 기뻐하고 있는 것일까요? 우리가 성당에 오면서 느끼는 기쁨의 대상이 바로 ‘복음’일 것입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 이미 밝히셨듯이 이 세상에는 거짓된 예언자들이 적지 않습니다.

거짓 그리스도들과 거짓 예언자들이 나타나, 할 수만 있으면 선택된 이들까지 속이려고 표징과 이적들을 일으킬 것이다. (마르 13,22)

그들은 진정한 기쁨이 될 수 없는 것들, 즉 하느님으로부터 오지 않은 기쁨을 속여서 신자들에게 이것이 신앙을 지니는 기쁨이라고 속일 것입니다. 그러니 신자들은 헷갈려 하게 됩니다. 자신들은 이러 저러한 것들이 ‘기쁜 소식’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는 걸 뒤늦게 깨닫게 되는 것이지요.

과연 우리에게 기쁜 소식은 무엇일까요? 사실 그것은 우리가 어린 시절부터 익히 알던 것입니다. 기쁜 소식은 사랑하는 이, 사랑받는 이가 마음에 느끼는 것입니다. 우리는 어린 시절 동안 그러한 것들을 잘 이해해 왔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점점 자라남에 따라서 그 기쁜 소식은 다른 엉뚱한 소식들에 대체되게 됩니다. 즉, 서로 아끼고 사랑하는 것이 기쁜 소식인 줄을 알고 있었는데 그것이 언제부터인가 옷을 화려하게 입고 외모를 잘 꾸미고 값비싼 음식을 먹고 인기를 많이 얻으면 기쁜 소식이라고 잘못 배워오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래서 심지어는 교회 안에서도 그런 엉뚱한 기쁜 소식이 등장하게 됩니다. 성당을 지어도 화려하게 지어야 하고 카페도 하나 집어넣어야 하고 쓰지도 않을 공간을 온통 화려한 장식들로 가득 채워 넣어야 하고 사람들의 내면이야 어떻든 여러가지 외적 행사를 치뤄서 사람들을 꽉꽉 채워 넣으면 겉보기도 좋고 자세도 나고 하니 그러한 것이 기쁜 소식인 줄로만 알게 된 것입니다.

그런 것에 익숙해진 이에게 진정한 ‘기쁜 소식’을 가져가면 그들은 그 참된 기쁜 소식을 역으로 ‘부끄러워’ 합니다. 가난한 이들에게 다가서자고 하면 자신들이 지금껏 모으고 쌓아온 것이 가난한 이들의 몫이 될까봐 반대로 그들에게 적절한 방어선을 구축하자고 반발합니다. 부족하고 못난 이들이 교회에 들어오게 하자고 하면 그들은 자신들이 누려오던 기득권에 상해가 갈까봐 그러지 말고 도리어 동네의 유력 인사들에게나 찾아가자고 합니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스스로를 ‘복음의 봉사자’라고 부를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외적으로는 너무나도 정신없이 바쁘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이런 저런 온갖 외적인 활동들로 자신을 가득 채워서 그것을 드러내는 데에 여념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는 동안 진정으로 복음이 전해져야 하는 이들은 교회 근처에도 다가오지 못하게 됩니다. 무식하고 상스럽다는 딱지를 단 채로 고상하고 엄숙한 교회에 들어서지도 못하는 것입니다.

자기들 배를 불리는 것이 복음이 된 그들, 참된 복음을 수치스러워하는 이들이 있으니 오늘 바오로 사도는 당당하게 밝히는 것입니다. ‘나는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 복음이 그에게 가하는 환경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바오로 사도는 복음 때문에 고초를 겪었습니다. 감옥에도 수차례 갇히고 매도 맞고 죽을 고비도 여러번 넘겼습니다. 그 모두를 복음 때문에 한 것이지요. 하지만 이 참된 복음을 부끄러워하는 자들은 복음 때문에 고초를 겪기는 커녕 복음을 멀리하고 자신들의 거짓된 복음을 추구합니다.

저마다 마음에 기쁨을 주는 것이 그들의 복음이 되는 세상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러는 동안 하느님의 참된 복음, 진정한 선과 사랑과 진리의 복음은 사람들의 내면에 설 자리를 잃게 되어 버렸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