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나라의 제자가 된 모든 율법 학자는 자기 곳간에서 새것도 꺼내고 옛것도 꺼내는 집주인과 같다. (마태 13,52)
이 짧은 문장에는 여러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나옵니다. 무엇보다도 ‘하늘 나라의 제자’라는 단어는 예수님을 통해서 새로이 하느님의 제자가 된 이들, 즉 새로운 것을 배워 알게 된 이들을 의미하지요.
그리고 ‘율법 학자’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을 아는 사람, 옛 것, 즉 율법에 익숙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곳간’이라는 것은 우리가 내면에 지니고 있는 가치들이 머무는 곳이지요. 익히 쌓은 덕도 그 곳간에 있고 새로이 쌓은 덕도 그 곳간에 있습니다. 바로 우리 영혼이지요. 우리는 우리의 영혼에 무언가를 담아 놓을 수도 있고, 또 거기에서 무언가를 꺼낼 수 도 있습니다.
옛것 만을 지니고 있는 사람은 옛것을 꺼내고, 새것 만을 지니고 있는 사람은 새것을 꺼낼 것입니다. 하지만 율법 학자가 하늘 나라의 제자가 되면 그 양자를 원하는 때에 꺼낼 수 있게 됩니다.
자, 이제 추상적인 이야기는 잠시 옆으로 제쳐두고 이제 실제적인 문제를 건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육을 지켜야 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만일 옛것에만 익숙한 율법학자라면 답은 간단합니다. 금육은 지켜야 하고, 연령은 몇 살부터 몇 살까지, 그리고 지키는 날짜는 무엇무엇이며 지켜야 할 항목은 이러저러한 종류의 육류이고 그 와중에 허락되는 종류의 음식은 이러저러한 것입니다. 그리고 따로 법칙이 존재하지 않는 이상 ‘예외’는 없습니다.
하지만 하늘 나라의 제자가 된 율법 학자는 전혀 다른 설명을 할 것입니다. 그는 질문자의 의도를 알 것이고, 그가 처한 상황을 알 것이며 여러가지 것들을 면밀히 살핀 후에 그에게 대답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때로는 율법과 전혀 상관이 없는 대답도 하게 될 것입니다. 오직 사랑에서 나오는 대답을 말이지요. 그것은 금육에 대한 율법 규정과는 전혀 다른 내용이 되겠지요.
예컨대 연세가 드시고 치매끼가 있어서 정신이 오락가락하신 시어머니가 뜬금없이 재의 수요일에 고깃국을 먹고 싶다고 할 때, 정통 가톨릭 신자인 며느리는 자신 앞에 닥친 실제적인 문제 앞에서 혼란이 오게 될 것이고 시어머니를 사랑하는 마음과 하느님을 사랑하는 마음 사이에서 혼란을 느낄 것입니다. 그리고 그때 바로 사제의 도움을 청하게 되겠지요. 사제는 신학을 배운 나름의 율법 학자로서 분별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제자인 그 사제는 그 신자 며느리에게 ‘걱정하지 말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시어머니가 원하는 요리를 해 드리세요.’라고 할 수도 있겠지요.
사랑은 법을 이깁니다. 안식일의 주인은 사람의 아들입니다. 우리가 지닌 모든 것들은 우리의 구원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 우리를 얽어 매어서 사랑을 제한하게 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그러나 율법에만 사로잡힌 사람은 이를 올바로 실천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법은 명확합니다. 분명한 선을 그어주지요. 그래서 법이 그어놓은 선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는 셈입니다. 하지만 사랑은 법을 넘어섭니다. 사랑은 법이 쳐 놓은 울타리를 벗어나 그 밖으로 나아가 길 잃은 양을 찾아 헤메고 그 양을 찾아서 어깨에 메고 돌아옵니다. 그것이 사랑입니다. 우리는 사랑하기 위해서 여기 있는 이들입니다. 우리는 법을 준수하고 법의 시종이 되기 위해서 존재하는 이들이 아닙니다. 우리는 하늘 나라의 제자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사랑 안에서 곳간에서 새것과 옛것을 그때그때 꺼내는 훌륭한 율법 학자가 될 수 있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