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간이 움직이는 근본 원인


사람은 욕구에 의해서 움직입니다. 원하지 않으면 활동하지도 않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무엇을 원할까요? 가장 기본적으로 육신의 요구를 충족시키기를 원합니다. 배가 고프고, 잠을 잘 자고 싶고, 춥거나 덥지 않기를 바라지요. 고통을 겪고 싶어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런 욕구에 따라서 가장 기본적인 활동을 시작합니다. 즉 ‘생존’이라는 활동이지요. 따라서 우리는 먹고 살기 위해서 최소한의 일을 합니다. 다른 이유가 있어서 노동을 하지는 않더라도 아무리 게을러도 밥을 입에 떠넣기는 합니다. 그래야 살 수 있으니까요.

이 가장 기본적인 욕구가 채워지면 비로소 두번째 욕구가 시작되게 됩니다. 우리는 무언가를 알고 싶어합니다. 호기심이 있는 존재이지요. 동물들도 호기심이 있습니다. 고양이를 새로운 장소에 놓아두면 이리 저리 두리번거리며 탐색을 하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도 뭔가를 배우고 싶어하고 알고 싶어합니다. 교육이라는 활동이 따로 있기는 하지만 우리는 일상 안에서도 서로 대화를 나누면서 정보를 주고 받고, 또 온갖 것들을 바라보고 듣고 하면서 매순간 무언가를 정신에 채워 넣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가장 내면에는 숨겨져 있는 욕구가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영혼에서 나오는 것으로 자유의지와 상관이 있으며 우리가 결정하는 욕구입니다. 이 깊은 내면의 방향성 속에는 두 가지 방향이 있습니다. 하나는 ‘나 아닌 전능한 존재’를 향한 외적인 방향과 ‘순전히 나’를 향한 이기적인 방향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결정을 하고 두 방향 중에 하나를 선택하게 됩니다.

물론 ‘전능한 존재’가 있다는 것을 배우지 못한 이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이들에게도 이미 내적으로 일종의 잣대가 존재합니다. 우리가 흔히 양심이라고 부르는 것이지요. 아무리 배우지 못한 아이라도 다른 이들에게 해코지를 하면 안된다는 것, 즉 내가 다른 아이를 때려서 울리고 내가 그것을 보고 낄낄대고 웃는다는 것은 좀 이상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내가 당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 해서도 안되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요.

그러나 사람은 때가 되면 ‘전능하신 존재’에 대해서 배우게 됩니다. 저 나름의 종교 안에서 ‘신’을 알게 되는 것이지요. 나를 벗어나서 보다 선하고 뛰어난 타자의 존재를 인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선택이 시작됩니다. 즉, 여전히 나의 이기적인 욕구들을 충족시킬 것인지, 아니면 외적인 올바른 길을 향한 충고를 받아들일 것인지 하는 것이지요.

저는 이것을 영혼의 욕구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우리의 영혼은 전능하신 존재, 즉 가톨릭에서 하느님이라고 부르는 분을 찾아 헤메는 것이지요. 그리고 정반대의 방향으로 영혼은 하느님을 거부하고 자신의 이기적인 마음을 충족 시키려는 악한 욕구를 지닐 수도 있습니다. 바로 이 두 방향성이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내면 안에서 방향성을 형성하고 그가 하는 모든 활동을 규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느님을 위해서 배우는 사람이 있고, 이기적인 목적으로 배우는 사람이 있습니다. 하느님을 위해서 사람을 수술하고 살리기 위해서 의사가 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자신의 이기적인 욕구를 바탕으로 돈을 빼앗아 향락을 누리기 위해서 의사로 일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먹어도 하느님을 위해서 먹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자신의 이기적인 쾌락을 충족 시키기 위해서 먹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처럼 인간의 모든 활동은 외적으로는 동일해 보이지만 내적으로는 전혀 다른 가치를 지니게 됩니다.

마치 동일한 조건의 두 차량이 운전자가 원하는 것에 따라서 전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우리 인간들도 가장 내면의 영혼의 방향성에 따라서 전혀 다른 두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방향성과 그것을 향한 추구가 우리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짓게 하는 것입니다.

자기 스스로 세상 만물의 주인이라고 자칭하는 사람들은 훗날 그 값을 치뤄야 할 것입니다. 인간은 제 목숨 하나 어쩔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뒤늦게 깨달으면 이미 때는 늦은 것이지요. 하느님은 우리가 이 땅에서 사명을 수행하라고 보내셨습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이기적인 목적으로 하느님의 선물을 모조리 탕진한 셈이 됩니다. 전혀 나누지도 않고, 돕지도 않고, 사랑하지도 않고 모든 것을 이기적인 목적 하에서만 사용하고 쓰고 소모한 것이지요.

하지만 하느님을 따르는 사람은 전혀 다른 모습의 삶을 살아갑니다. 하느님의 뜻을 따르는 목적 하에서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 마저도 거스를 때가 있습니다. 즉 생존과는 전혀 무관한 움직임, 즉 스스로 고통을 감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 것이지요. 자신의 일이 아닌데도 나서서 돕기도 하고 그가 겪어야 할 고통을 나누어 지기도 하는 것입니다.

세상의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바로 이 변화의 과정 중에 있는 셈입니다. 그들은 어둠에서 빛으로 나아가는 것이고, 이기성에서 하느님을 향한 이타성으로 나아가는 것이지요. 우리는 우리 스스로에게 솔직해져야 합니다. 우리가 사랑이라고 행하는 수많은 활동 중에는 ‘위선적’인 것들이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기억해야 합니다. 첫째로 하느님을 모든 것을 동원해서 사랑해야 합니다. 그리고 내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해야 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영원히 사는 비결이고 구원되는 비결입니다. 그 밖의 다른 길은 없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체를 모시는 방법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신부님이랑 목사님은 뭐가 달라요?

통상적으로 가톨릭의 성직자(거룩한 직분을 받은 자)를 신부님이라고 부르고 개신교의 목회자(회중을 사목하는 자)를 목사님이라고 부릅니다. 당연히 이를 올바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또는 천주교)과 개신교의 차이를 알아야 하겠지요? 기독교라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한자 음역을 한 단어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를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천주교(가톨릭: 보편적)과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저항)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먼저는 예수님입니다. 2000여년 전 인류사에서 한 인물이 등장을 했고 엄청난 이슈를 남기게 되었지요.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소위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이 교회는 역사를 통해서 그 덩치를 키우게 됩니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니 만큼 순수했던 처음의 열정이 사라져가고 온갖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서게 되지요. 그리고 엉뚱한 움직임들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즉 교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많은 모습들이 보이게 되었지요. 돈에 대한 탐욕, 권력에 대한 집착과 같은 움직임들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레 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게 되지요. 그것이 바로 개신교의 시초인 셈입니다. 루터라는 인물이 95개조의 반박문을 쓰고 했다는 역사적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신교 형제들이 자기들의 신조를 들고 갈려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그들은 오직 믿음, 오직 성경, 오직 은총과 같은 구호를 외치면서 가톨릭에서 갈려 나와 자신들이 진정한 초대교회의 정통성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가톨릭은 여전히 가톨릭대로 자신들이 정통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하고 있는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우리의 몸이 때로는 아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이 아프다고 해서 성한 팔을 따로 잘라내지는 않는 것처럼 공동체도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공동체가 아프면 모두 힘을 모아서 그 아픈 부위...

미사 봉헌

미사를 봉헌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간단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를 말하자면 사무실에 가서 해당하는 비용을 내고 기도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미사 봉헌’이라고 말합니다. 헌데 우리는 그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있을까요? 미사를 봉헌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무엇보다도 연옥 영혼들을 위한 효과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망자를 기억하면서 그를 위해서 드리는 미사는 그 영혼에게 효과가 미칩니다. 물론 무슨 효과가 얼마나 미칠지 우리는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예수님의 수난의 공로로 인해서 그 영혼은 자비를 입게 되고 자신이 채워야 할 수난의 시간을 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수많은 성인들의 실제적인 증언으로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서 드리는 미사도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때에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이루어집니다. 우리의 정성은 받아들여지지만 그 은총의 효과는 하느님이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병자가 건강하기를 바랄 수 있지만 그의 건강의 회복은 오직 하느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가 건강을 회복하고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까지 아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들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미사를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 중요한 것이지요. 돈을 지불하는 것이 우리의 정성의 일부분이 되는 이유는 우리가 지닌 돈은 결국 우리의 정성을 모아서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물을 통해서 우리의 삶을 봉헌하는 행위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더욱 소중한 정성입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진심으로 그 미사의 말씀을 듣고 성찬의 전례에 온전히 참례하게 된다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미사의 은총을 더욱 배가 될 것이 틀림 없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그런 미사 참례를 통해서 드리는 봉헌의 행위로 우리의 삶 자체는 변화될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 모든 은총의 결과물은 바로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진실한 마음으로 미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