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력이 조금만 뛰어나다면 숟가락 하나로도 묵상할 수 있습니다. 숟가락은 뭔가를 퍼는 곳이 있고, 손잡이가 있습니다. 포크로는 국물을 떠먹을 수 없지요. 뭔가를 퍼기 위해서는 그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 부분이 필요한 셈입니다. 영적으로도 마찬가지이지요. 영적인 보화를 길어내려면 영적인 보화를 퍼내는 우리의 관심이 필요한 것입니다. 세상적인 관심으로 영적인 보화를 퍼내려고 한다면 포크로 국물을 떠먹으려는 것과 같습니다. 영적인 지식을 모아서 스스로 지혜로운 사람으로 자처하려고 하는 것과 비슷한 모양새이지요. 숟가락에는 손잡이가 있습니다. 숟가락은 손잡이가 없으면 이상한 모양새가 됩니다. 물론 밥그릇으로도 국물을 펄 수는 있지만 그건 제 역할이 아닌 셈이지요. 밥그릇을 숟가락처럼 써서 식사를 하는 사람은 없으니까요. 손잡이, 숟가락을 쓰임새 있게 하기 위한 손잡이는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바로 이 부분으로 하느님은 우리를 쓰시지요. 우리를 통해서 세상에 숨겨진 보화들을 퍼내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느님에게 손잡이를 내어 드려야 합니다. 행여 하느님 아닌 존재에게 우리를 내어 주었다가는 우리는 국물을 떠먹는 데 쓰이는 게 아니라 전혀 엉뚱한 것을 퍼내는 데에 쓰일수도 있습니다. 숟가락의 크기는 제각각입니다. 큰 것도 있고 작은 것도 있지요. 큰 걸로 작은 걸 펄 순 있어도 작은 티스푼을 국자처럼 쓸 수는 없습니다. 잊지 마십시오. 우리는 대부분 티스푼에서 시작합니다.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으로 우리가 처음부터 큰 숟가락이 될 수는 있지만 대부분은 아주 작은 티스푼에서 시작해서 마음의 크기, 숟가락의 크기를 넓혀 가는 것이지요. 하지만 작은 스푼이 절대 나쁘지 않은 이유는 뭔가를 퍼내는 역할에 있어서는 미흡할 수 있지만 작은 스푼은 조금만 노력해도 쉽게 가득찰 수 있다는 것입니다. 행복이라는 것은 우리 안의 원의가 채워지는 것이기에 그릇이 작을수록 더 쉽고 빨리 채워집니다. 공연히 그릇 크기만 키워 놓았다가 올바로 채우지 못해서 불안해하고 슬퍼하기보다는 차라리 작은 그릇을 가득 채우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하느님은 각 사람에게 적합한 그릇을 주시는 분이십니다. 숟가락은 숟가락으로 쓰십시오. 필요하다면 병따개로도 쓸 수 있지만 그러다가 목이라도 부러지면 그때는 영영 쓰임새를 잃게 마련이기 때문입니다. 숟가락은 숟가락으로 쓰십시오.
- 성체를 손으로 모시는 게 신성모독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이게 무슨 소린가 싶었습니다. 일단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체를 입으로 직접 받아 모셔왔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십시오. 주님의 수난 만찬때에 제자들과 모여 함께 나눈 빵을 제자들이 무릎을 꿇고 입만 벌리고 받아 모셨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은 손으로 빵을 받아서 나누어 옆의 동료들에게 나누어가며 먹었습니다. 하지만 성체에 대한 공경이 날이 갈수록 더해 감에 따라 부스러기 하나라도 흘리지 않으려는 극진한 공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단 앞으로 나와 무릎을 꿇고 입을 벌리고 받아모시게 한 것이지요. 그러다가 신자들의 수가 너무 많아지고 또 입으로 모시다가 자꾸 사제의 손에 침이 발리니 위생상의 문제도 있고 해서 손으로 받아 모시게 한 것입니다. 사실 한국과 같은 곳은 입으로 받아 모시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전부가 손으로 받아 모십니다. - 그럼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건가요? - 제가 보았을 때에는 성체에 대한 극진한 존경심을 드러내기 위해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성체를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좋지만 손으로 모시는 사람을 잘못되었다고 할 필요는 없지요. 여기서는(볼리비아에서는) 입으로 모시는 사람과 손으로 모시는 사람의 두 부류가 있고 둘 다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입으로 모시는 이들의 혀가 제 손에 자꾸만 닿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고 이는 굉장히 비위생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입으로 모시는 것이 성체를 흘리고 떨어뜨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모시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지요. 다만 손으로 모실 때에는 미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왼손 아래에 오른손을 받치는 올바른 자세를 갖추고 왼손으로 성체를 받아 뒤의 사람이 앞으로 나와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옆으로 살짝 비켜나서 성체를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모시고 나서 손에 남은 부스러기를 함부로 다루지 말고 입으로 가져가서 혓바닥으로 깨끗이 처리할 필요가 있지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