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과연 ‘객관적’일까요? 우리가 바라보고 분별하는 것들은 과연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나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하고 있는 걸까요? 아니면 정반대로 우리는 굉장한 ‘주관성’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걸까요?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한 대상에 대해서 나는 왜 그렇게 신경이 쓰일까요? 다른 사람들은 편안하게 주고받는 이야기를 나는 왜 민감하게 반응할까요? 과연 내가 하는 말과 행동들은 객관적인 시각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일까요? 아니면 그 순간 순간 나에게서 나오는 그 알지못할 변덕으로 제멋대로 흘러가는 것일까요?
인간은 생각만큼 객관적이지 못합니다. 우리는 각자의 역사 안에서 미리 쌓아둔 것이 많습니다. 그래서 누군가는 개를 보기만 해도 무서워하고 다른 누군가는 개를 겁내지 않고 사랑하며 다가서서 어루만져 주는 것입니다.
우리 안에 내재된 것들에 대해서 우리는 충분히 생각지 않고 있으며 그래서 때로는 우리 스스로에 대해서조차 이해를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말 누군가와 잘 지내고 싶고 잘해주고 싶은데 자신도 모르는 무언가가 튀어나오는 것이지요.
하지만 그 와중에도 ‘양심’이라는 기관은 충분히 동작하고 있습니다. 하면 안되는 게 무엇인지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지요. 따라서 우리의 약점 때문에 이루어지는 동작이 있는가 하면 우리의 양심에 어긋나는 동작이 있는 것입니다.
‘무의식’의 세계는 분명히 존재하고 우리는 그것에 대해서 거의 알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마음의 찌꺼기를 가라앉히고 내면에 집중할 수 있다면 우리는 우리 안에 숨어있는 것들을 하나씩 발견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끌어안아 줄 수 있게 되지요.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한 대상에 대해서 나는 왜 그렇게 신경이 쓰일까요? 다른 사람들은 편안하게 주고받는 이야기를 나는 왜 민감하게 반응할까요? 과연 내가 하는 말과 행동들은 객관적인 시각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일까요? 아니면 그 순간 순간 나에게서 나오는 그 알지못할 변덕으로 제멋대로 흘러가는 것일까요?
인간은 생각만큼 객관적이지 못합니다. 우리는 각자의 역사 안에서 미리 쌓아둔 것이 많습니다. 그래서 누군가는 개를 보기만 해도 무서워하고 다른 누군가는 개를 겁내지 않고 사랑하며 다가서서 어루만져 주는 것입니다.
우리 안에 내재된 것들에 대해서 우리는 충분히 생각지 않고 있으며 그래서 때로는 우리 스스로에 대해서조차 이해를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말 누군가와 잘 지내고 싶고 잘해주고 싶은데 자신도 모르는 무언가가 튀어나오는 것이지요.
하지만 그 와중에도 ‘양심’이라는 기관은 충분히 동작하고 있습니다. 하면 안되는 게 무엇인지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지요. 따라서 우리의 약점 때문에 이루어지는 동작이 있는가 하면 우리의 양심에 어긋나는 동작이 있는 것입니다.
‘무의식’의 세계는 분명히 존재하고 우리는 그것에 대해서 거의 알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마음의 찌꺼기를 가라앉히고 내면에 집중할 수 있다면 우리는 우리 안에 숨어있는 것들을 하나씩 발견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끌어안아 줄 수 있게 되지요.
댓글